한국사/고구려

광개토태왕이 함락한 백제의 가루성은 웨일즈에 있었다

CG PARK 2025. 8. 11. 07:02

I. 서 론

그동안 필자는 이 지역 근처에서 백제와 고구려 관련 여러 성들을 찾았다. 광개토태왕이 정복한 각미성, 관미성, 수곡성 등이 그것이고, 백제 온조왕 시기부터 말갈과 싸웠던 지역인 곤미천, 청목산, 그리고 고구려와 백제가 4-5세기 접전을 벌였던 청목진, 청목령이 모두 이 지역에 있는 것을 밝혔다. (아래 자료 참조)

 

https://paulcgpark.tistory.com/111

 

드디어 각미성을 찾았다

I. 머리말 그동안 고구려 광개토태왕이 백제의 각미성(광개토태왕 비문 속의 이름)(관미성:삼국사기 속의 이름)이 어디인지 궁금하였는데, 최근 광개토태왕이 점령한 성들의 위치를 찾는 과정에

paulcgpark.tistory.com

 

https://blog.naver.com/lainfos/223968660215

 

광개토태왕이 함락한 관미성과 각미성은 별도의 성이다.

I. 서 론 필자는 최근에 웨일즈의 Caer Gybi성이 각미성이란 아래 글을 썼다. 사방이 절벽으로 된 지형...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ainfos/223966161009

 

광개토왕 시기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지역인 수곡성은 어디인가?

I. 서 론 필자는 얼마 전 광개토태왕이 함락한 광개토태왕의 비문에 나타난 각미성에 대해 글을 썼다. (아...

blog.naver.com

 

 

 

https://lainfos.tistory.com/520

 

백제가 말갈과 싸운 지역인 곤미천, 청목산은 웨일즈에 있었다.

I. 서 론 필자는 각미성은 사방이 바닷물과 절벽으로 되어 있는 섬에 있다는 서술에 기인하여 웨일즈의 Holy Island에 있는 Gybi Fort라 했다. (아래 글 참조) https://paulcgpark.tistory.com/111 드디어 각미성

lainfos.tistory.com

 

https://lostcorea.tistory.com/1930

 

백제와 고구려가 싸운 청목진과 청목령은 Wales에 있었다.

I. 서 론 지난 글에서 필자는 곤미천과 청목산에 대한 글을 썼다. (아래 필자의 글 참조). https://lainfos.tistory.com/520 백제가 말갈과 싸운 지역인 곤미천, 청목산은 웨일즈에 있었다.I. 서 론 필자는

lostcorea.tistory.com

 

이제 이 웨일즈에 있으면서, 해안이 유난히 험한 지역인 그래서 해안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의 깊숙히 들어간 곳에 있는 Carew Castle이 광개토태왕 시기 정복성 중의 하나인 가루성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한 때, 아일랜드의 Calow castle을 가루성으로 짐작했으나, 관련 자료를 자세히 보니, 아일랜드는 과거 로마의 점령지가 아니었고, 이는 곧 백제가 아니었다는 것이 되며, 따라서 백제의 정벌 성중의 하나인 가루성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Carew Castle이 가루성인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II. 본 론

 

Carew Castle은 웨일즈의 남서쪽에 있는 Pembrokeshire county에 있는 성곽이다. 

 

 

1. Carew Castle (Middle West Wales) 

 

Carew castle이 있는 Pembrokeshire county (Wales) 위치

 

Carew Castle location in Southwest Wales (source : Google Map)

 

Carew Castle은 Pembrokeshire county에 있는 Milford Haven Waterway만의 안으로 상당히 들어가 있어 Carew River옆에 있다. 그러나 2000년전부터 군사적 기지로 이용되어 왔다 한다. 이 위에 노르만인들이 세운 요새가 현재의 모습이다. (아래 자료 참조)

 

Milford Haven Waterway map (source : Wikipedia)

 

Carew Castle in Pembrokeshire, Wales (source : Google Map)

 

Carew Castle, Pembrokeshire county, Wales

 

Milford Haven Panoramic View, 1776 (source : Wikipedia)

 

"Carew Castle (Welsh: Castell Caeriw) is a castle in the civil parish of Carew in Pembrokeshire, Wales. The Carew family take their name from this site and have owned the castle for more than 900 years. It is leased to the Pembrokeshire Coast National Park for administration purposes.[2] .

​Carew Castle(웨일즈어, Castell Caeriw)은 웨일즈의 Pembrokeshire 카운티의 Carew 민간 행정교구에 있는 성이다.  

 

Construction

The present castle, which replaced an earlier stone keep, is constructed almost entirely from the local Carboniferous limestone, except for some of the Tudor architectural features such as window frames, which are made from imported Cotswold stone. Although originally a Norman stronghold the castle maintains a mixture of architectural styles as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structure over successive centuries.

현재의 성곽은 이미 있던 석조 감시탑을 대체한 것으로 지역의 석탄기 석회암으로 만들었다. 이는 원래 노르만의 요새이다. 

 

History

The use of the site for military purposes extends back at least 2000 years.

이 지역을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한 것은 적어도 2000년전으로 올라 간다.

 

Carew Castle and Carew River (source : Google map)

 

 

Early history

The castle stands on a limestone bluff overlooking the Carew inlet, part of the tidal estuary that makes up the Milford Haven Waterway. The site must have been recognised as strategically useful from the earliest times, and recent excavations in the outer ward have discovered multiple defensive walls of an Iron Age fort.

 

이 성곽은 Carew 작은 만을 굽어보는 석회암 절벽위에 위치한다. Carew 만은 Milford Haven Waterway를 이루는 조수가 있는 하구의 일부를 이룬다. 이 장소는 일찍부터 전략적으로 유용한 곳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최근의 발굴에 의하면, 이 부근에 철기시대 요새의 많은 방어 성벽이 있었다. 

 

The Norman castle has its origins in a stone keep built by Gerald de Windsor around the year 1100. Gerald was made castellan of Pembroke Castle by Arnulf of Montgomery in the first Norman invasion of Pembrokeshire. He married Nest, princess of Deheubarth around 1095. Nest brought the manor of Carew as part of her dowry, and Gerald cleared the existing fort to build his own castle on Norman lines. The original outer walls were timber, and only the keep was of stone. This still exists in the later structure as the "Old Tower".

 

Pembroke castle은 노르만에 의해 1100년경 세워졌다. 

 

(source : Carew Castl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특히 Carew만이 있는 곳은 조수가 있는 자연적 항구조건을 갖춘 Milford Haven Waterway의 하구에 있으며, 전략적으로 유용한 곳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 부근에서 철기시대의 많은 요새 성벽이 발견되었다. 이후 언급되겠지만, 이 지역 주위에 로마의 흔적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비록 직접적 언급은 없지만, Carew 성은 로마시대의 성중의 하나로 추정한다. 

 

 

" The Norman conquest, achieved by coastally sited castle boroughs, is still obvious at Pembroke, at Haverfordwest, and at Carew. Carew did not develop into a borough, but excavations have shown that a Dark Age stronghold and possible Romano-British site preceded the Norman castle.[1]

Carew는 하나의 행정 borough으로 발전하지는 못했으나, 발굴에 의하면, Dark Age (서로마제국의 멸망후 5c-10c)요새를 보여주며, 로마-브리튼의 장소가 노르만 성곽 이전에 있었을 것이다. 

[출처] <펌>Milford Haven Waterway - wikipedia|작성자 CG Park

 

상기 자료는 Carew성이 로마의 성곽이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그래서 로마군이 브리튼에서 철수한 후의 역사를 살펴 보았다. 광개토태왕이 이 지역을 접령하였다면 뭔가 흔적이 있을 것이라 판단하기 때문이다.

 

 

2.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후 세워진 Kingdom of Dyfed (410 - )

 

이 지역에서 410년부터 있었다는 Dyfed왕국에 관한 아래 자료를 보면, 360년에 이미 아일랜드인, 앵글로색슨, Picts인(스코틀랜드인)들이 연합하여 이 지역과 Isle of Man 섬을 점령한 것을 언급하고 있다.

 

"History

Irish foundation

 

In the year 360, a sudden series of coordinated raids by the Irish, Anglo-Saxons and Picts began. These continued as the Irish colonised the Isle of Man, and resulted in a short period lasting until the 5th century during which Old Irish was spoken in the region: twenty stones dated to this period have ogham inscriptions. One bilingual Latin-Irish stone in Castelldwyran, near Narberth, has the name Votecorigas written on it; the wordier Latin inscription is Memoria Voteporigis Protictoris, giving him the title "protector", a late Imperial Roman title given to nobility.[2]

360년에, 아일랜드인, 앵글로색슨인, 그리고 피크인(스코틀랜드인)이 연합하여 갑작스러운 연속적인 침략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것은 계속되어, 아일랜드인이 Isle of Man (아일랜드와 웨일즈 사이에 있는 섬)을 식민지화 하고, 5세기까지 계속하여 고대 아일랜드어가 이 지역에서 말해졌다 : 이 시기의 20개 돌들이 오겜 (ogham, 고대 아일랜드어) 글자로 새겼다. Narberth 가까이 Castelldwyran에 있는 라틴어와 아일랜드어​ 두개국어로 된 돌은 그위에 Votecorigas란 이름이 쓰여졌다; 라틴어로 쓰인 단어는 Memoria Voteporigris Protictoris로서 그에게 "보호자"(protector)란 후기 로마제국이 귀족에게 주어진 작위를 주었다. 

(source : Kingdom of Dyfed (410- ),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360년은 고구려 고국원왕과 백제의 근초고왕 시기인데, 모두 삼국사기에는 긴 공백기간 (고국원왕 시기중 AD 356-368 : 13년 공백, 근초고왕 시기중 AD 348-365 : 18년 공백)으로 되어 있다. 역사 감추기의 일환으로 손을 탄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인 뿐만 아니라 앵글로 색슨족까지 같이 연합하여 공격한 자료는 특별한 관심을 이끈다. 왜냐하면, 앵글로 색슨족은 지금의 덴마크지역인 Jutland에서 5-6세기에 잉글랜드지역으로 이동했다고 위키피디아 자료는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미 앵글로 색슨족이 잉글랜드 동부에 5-6세기 이동하기 전에 이미 잉글랜드 서부인 웨일즈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고구려의 태조왕 시기 (AD 72년 ) 관노부의 달고가 조나국을 정복한 지역이 Jutland일 것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아래 자료 참조)

https://lainfos.tistory.com/52

 

백두산 주위 10국의 하나인 조나(藻那)국은 북유럽의 Jutland인가?

백두산 주위 10국의 하나로서 조나(藻那)국이 있다. 이 조나(藻那)국에 대한 자료를 보면 아래와 같다. 글자 조의 뜻풀이는 마름 조이다. 마름은 바늘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수초이다. 다른 뜻은

lainfos.tistory.com

 

또한 고구려 태조왕 시기 AD 74년 환나부의 패자 설유의 공격을 받은 주나국이 멸망하고 고구려에 편입되었다 한다. 주나국 왕자 울음은 사로잡혀 고추가에 임명되고 고구려 귀족에 포함되었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朱那

고구려 초기, 고구려 인근에 있었던 소국으로 현재 위치는 알 수 없다.

태조왕 시기인 서기 74년, 환나부(桓那部) 패자(沛者) 설유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고, 왕자인 을음은 사로잡혀서 고추가에 임명되었다. 고추가가 고구려 왕족 혹은 귀족에 대한 칭호인 점을 보아, 을음은 주나국 멸망 이후 고구려 귀족층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자료 : 주나국, 나무위키)

 

그리고 필자는 숙신을 색슨족 또는 켈트족으로 추정하는 바, 이에 대한 글도 썼다. (아래 자료 참조)

https://lainfos.tistory.com/124

 

한국 고대사의 숙신은 누구인가?

한국 고대사에서 숙신에 대한 언급은 필자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비중을 갖고 있는 것을 최근에 알았다. 그전에는 숙신이 읍루나 말갈 정도의 것으로 생각하고, 혹시 유럽의 북해에 접해있는

lainfos.tistory.com

 

상기 글에서 언급하는 숙신족이 켈트족의 일부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다. 다만 서천왕 시기 280년, 왕의 동생 달가가 숙신의 단로성을 빼앗았다 하였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에서는 Dun이 성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단로성은 스코틀랜드의 Dunnottar castle이나, 아일랜드의 Doona castle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추정은 필자가 고구려 초기 태조왕 시기 (72-74년) 주나국, 조나국을 정벌한 지역이 덴마크의 Jutland지역이 아닌가 하는 추정과도 일치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할 때, 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인, 앵글로색슨인이 힘을 합쳐 360년 웨일즈지역을 공격했다는 것은 켈트인의 공격 또는 숙신인의 공격이라 할 수 있다. 좀 더 나아가 고구려의 복속세력이 가루성 지역을 공격한 것일 수도 있다. 즉 고구려의 복속세력이 백제의 영역이었던 가루성 지역을 공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410년부터 Dyfed왕국이 시작한 것을 보면, 광개토태왕이 가루성을 정복한 후, 이 지역에 속국인 Dyfed왕국이 세워진 것이 아닌가 한다.  

 

 

Kingdom of Dyfed, 7c후반 (source : Wikipedia)

 

The medieval Irish narrative The Expulsion of the Déisi attributes the kingdom's founding to Eochaid, son of Artchorp, who was forced across the Irish sea in the 5th century; his descendants founded the line of the kings of Dyfed down to "Tualodor mac Rígin" (Tudor map Regin).[3]

중세의 아일랜드어로 된 The Expulsion of Deisi에 의하면, Dyfed 왕국은 5세기에 아일랜드해를 건너온 Artchorp의 아들 Eochaid에 의해 세워졌다. 그의 자손들이 Dyfed 왕들의 라인을 만들어 Tualodor mac Rigin (Tudor map Regin)까지 계속되었다.  

 

(source : Kingdom of Dyfed (410- ),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필자는 지난 웨일즈의 성, 각미성, 관미성, 수곡성, 그리고 청목진, 청목령에 관한 글에서, 아일랜드의 전설적 왕 Red-Hand의 Niall왕의 Seven Hostages이야기가 광개토태왕의 이야기가 아닌가 추정했다. 여기서 자주 아일랜드의 세력이 웨일즈의 Dyfed 왕국을 세웠다는 것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아닌가 한다. 

 

3. 로마시대부터 주둔되어 있던 장소의 Pembroke Castle

 

Carew castle근처에 Pembroke castle이 있다. (아래 그림 참조) 그런데 이 성은 로마시대부터 주둔 했었던 곳이라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즉 로마 성곽이 이 주위에 있었다는 것은 Carew성도 로마성이었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아니면 Pembroke castle이 가루성일 수도 있다. Pembroke란 이름은 근대에 들어선 이름일 것이다.

Pembroke castle, 1890s (source : Wikipedia)

 

"Pembroke Castle stands on a site that has been occupied at least since the Roman period. Roger of Montgomery founded the first castle here in 1073.[6]

Pembroke castle은 적어도 로마시대부터 주둔되어 있던 장소에 있다. Roger of Montgomery가 1073년 여기에 성을 세웠다. 

 

(source : Pembroke castl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4. 높은 절벽해안을 가진 Pembrokeshire Coast와 전략적 방어지역인 Milford Haven Waterway

 

또한 Pembrokeshire 해안지역은 높은 절벽의 모습으로(아래 그림 참조), 많은 난파선들이 있었던 지역이라 한다. (아래 자료 참조). 그만큼 전략적인 방어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ilford Haven 만이 천혜의 항구조건으로 많은 무역거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선사시대부터 이 지역을 지키는 전략적 성곽이 있었을 가능성을 더 높혀주고 있다. 현재 Pembrokeshire Coast National Park는 웨일즈의 Snowdonia National Park, Brecon Beacons National Park와 함께 웨일즈의 3대 국립공원의 하나가 되어 있다. 공교롭게도 모두 광개토태왕 시기의 정복 성들과 백제와 고구려의 치열한 전투지역인 청목산, 청목령과 관련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Pembrokeshire's coast is its most dramatic geographic feature, created by the complex geology of the area. It is a varied landscape which includes high sea cliffs, wide sandy beaches, the large natural harbour of Milford Haven, and several offshore islands which are home to seabird colonies..........

Pembrokeshire의 해안은 가장 드라마틱한 지형적 모습인데, 이 지역의 지질적 복합에 의해 만들어졌다. 높은 바다 절벽들, 넓은 모래사장 비치, Milford Haven의 자연 항구, 그리고 바닷새들의 고향인 몇몇 섬들 등의 여러 풍경을 가지고 있다. 

 

There are many prehistoric sites in Pembrokeshire, particularly in the Preseli Mountains......

 

Pembrokeshire, 특히 Preseli Mountains에는 많은 선사시대의 유적이 있다. 

 

Pembrokeshire Coastal National Park (Green Area) (source : Wikipedia)

There are many known shipwrecks off the Pembrokeshire coast with many more undiscovered...."

Pembrokeshire해안에는 많은 알려진 난파선이 있는데, 발견되지 않은 더 많은 난파선이 있다. 

(source: Pembrokeshi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Pembrokeshire county Coast, Wales (source : 

 

Pembrokeshire county Coast, Wales (source : Internet)

 

5. 4세기에 아일랜드인의 이동이 있었던, 로마요새가 많았던 Pembrokeshire지역

 

이러한 Pembrokeshire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 지역의 역사를 더 자세히 알아 보자.  Pembrokeshire지역의 로마 흔적은 2013년, 2024년 조사에서 Wiston시(아래 지도 참조)에서 로마 요새가 발견되었다 한다. 그리고 Dyfed지역의 서쪽 해변 끝인 Dale에서 일부 유적이 로마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는 아래 자료는 이 Dyfed 지역이 로마인의 접근이 없었다는 앞의 위키피디아 자료 일부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Wiston community area (source : Wikipedia)

 

"Roman period

Map dated 1450-75 based on Ptolemy's "Geography" written c. 150

There is little evidence of Roman occupation in what is now Pembrokeshire. Ptolemy's Geography, written c. 150, mentioned some coastal places,[7] two of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the River Teifi and what is now St Davids Head; there may have been a Roman settlement near St Davids and a road from Bath, but this comes from a 14th-century writer[who?]. Any evidence for villas or Roman building materials reported by mediaeval or later writers has not been verified, though some remains near Dale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Roman in character by topographer Richard Fenton in his Historical Tour of 1810. Fenton stated that he had "...reason to be of opinion that they had not colonized Pembrokeshire till near the decline of their empire in Britain".[8]: 144 

지금의 Pembrokeshire에는 로마의 주거흔적은 거의 없다. 150년 쓰여진 Ptolemy의 Geography는 몇몇 해안 지역을 언급했는데, 그중 두 곳이 River Teifi와 현재의 St Davids Head이다; St Davids와 Bath로부터의 도로 근처에 로마인의 주거지가 있었다. 그런데 이는 14세기 기록에 의해 알려졌다. 중세나 그후 기록들에 의해 언급된 빌라나 로마빌딩 재료들에 대한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Dale(아래 지도 참조) 근처의 일부 유적은 잠정적으로 로마시대의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1810년 지형학자 Richard Fenton가 쓴 Historical Tour에서이다. Fenton은 말하기를, 로마인들이 브리튼에서의 로마제국이 저물어갈 때까지 Pembrokeshire를 식민지하지 못했다는 의견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Dale community location in Wales (source : Wikipedia)

 

Part of a possible Roman road is noted by CADW near Llanddewi Velfrey,[9] and another near Wiston.[10] Wiston is also the location of the first Roman fort discovered in Pembrokeshire, investigated in 2013.[11] A find in north Pembrokeshire in 2024 of the likely remains of a Roman fort adds to the extent of Roman military presence in the area.[12]

 

로마 길의 일부일 수 있는 것이 Llanddewi Velfrey 근처의 CADW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또 다른 곳은 Wiston (상기 지도 참조) 가까이 있다. Wiston은 2013년 조사에서 Pembrokeshire에서 발견된 첫번째 로마 요새의 지역이다. 2024년 Pembrokeshire북쪽에서도 유사한 로마 요새 흔적이 발견되어, 이 지역의 로마 군사기지에 포함된다. 

(source : History of Pembrokeshi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그리고 383년이후에는 아일랜드인들이 이 Dyfed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아래 자료 참조) 특히 350-400년사이에 Deisi부족이란 아일랜드인들이 정착하였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Deisi부족에 대해서는 좀 더 아래에서 자세히 다시 살펴 보고자 한다. Deisi는 씨족집단으로, 조나국이나 주나국 같이 고구려의 속국지위를 누렸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Some artefacts, including coins and weapons, have been found, but it is not clear whether these belonged to Romans or to a Romanised population. Welsh tradition has it that Magnus Maximus founded Haverfordwest, and took a large force of local men on campaign in Gaul in 383 which, together with the reduction of Roman forces in south Wales, left a defensive vacuum which was filled by incomers from Ireland.[13]: 37–51 

 

동전이나 무기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이 로마나 로마인들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웨일즈 전통에 의하면 Magnus Maximus가 Haverfordwest를 세웠으며, 383년 Gaul지역 원정에 많은 지역민들을 동원했는데, 남부 웨일즈의 로마군의 축소와 더불어 방어 공백을 남겼으며, 이는 아일랜드로부터 온 사람들에 의해 채워졌다. 

 

(383년경, 아일랜드에서 온 세력에 의해 점령되었다는 것을 애들러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Sub-Roman period

Between 350 and 400, an Irish tribe known as the Déisi settled in the region known to the Romans as Demetae.[1]: 52, 17, 30, 34  The Déisi merged with the local Welsh, with the regional name underlying Demetae evolving into Dyfed, which existed as an independent petty kingdom from the 5th century.[1]: 

350-400년 사이, Deisi라 알려진 아일랜드 부족은 로마에게 Demetae라 알려진 지역에 정착했다. Deisi는 지역 웨일즈인들과 섞였으며, Demetae지역 이름은 Dyfed로 변하였고, 이곳이 5세기부터 독립된 소왕국이 존재한 곳이다. 

 

(source : History of Pembrokeshire,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6. 철기시대부터 군사기지가 있었던 Narberth Castle (in Pembrokeshire county)

 

Carew Castle의 북쪽에 있는 Narberth지역에도 철기시대부터 군사기지가 있던 것으로 기록되었다. 후일에 노르만인들이 이곳에 요새를 세었다 한다. (아래 자료 및 지도 참조). 즉 이 지역 주위 Wiston에도 로마군 기지가 있던 것을 고려하면 Narberth에도 로마 성곽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History

 

In the Iron Age, there was a defended enclosure to the south of the current town centre on Camp Hill.[5]

철기시대에, Camp Hill의 타운 중심지 남쪽에 둘러싸인 방어벽이 있었다. 

Narberth was founded around a Welsh court, but later became a Norman stronghold on the Landsker Line.

 

Narberth는 웨일즈 court 주위에 세워졌으며, 나중에는 Landsker Line의 노르만 요새가 되었다. 

[출처] <펌>Narberth, Pembrokeshire-wikipedia|작성자 CG Park

Narberth location in Pembrokeshire, Wales (source : Wikipedia)

 

Narberth Castle Ruins in Pembrokeshire, Wales

 

7. 켈트족 Gaul족 오리진인 Deisi tribe의 Britain서해안 지배

 

여기서 잠시 이 지역에 350-400년 기간에 정착한 아일랜드 부족 Deisi에 대해서 살펴 보면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로마의 브리튼 지배시기에, Deisi의 많은 사람들이 서쪽 해안(특히 Wales, Cornwall, Devon지역으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기록된다.

2) 초기 중세시기에, 몇몇 Deisi 그룹과 하부그룹은 아일랜드의 여러 분야에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3) Deisi는 단어 Deis에서 온 고대 아일랜드어인데, 이는 원래, 속국 또는 피지배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septs (씨족집단)의 특별한 구성원들의 집단을 나타내는 단어로 더 자주 쓰였다.

 

4) 어떤 중세의 텍스트는 Deisi에게 귀족계급에 속한다 하였다.

 

5) 오늘날 Deisi는 Waterford 카운티(아래 지도 참조)와 그의 사람들을 말하는 비공식적 단어이다. 

 

즉 씨족집단의 귀족계급으로서 정치적 주도세력이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속국, 피지배자라는 의미를 가졌다 하니, 고구려의 정복하에 지역적 속국의 지배세력인 기존의 씨족집단이 아닌가 한다. 고구려의 복속 소왕국인 조나국이나 주나국과 같은 형태의 모습이 아닐까 추정된다.

로마의 브리튼 지배시기에 웨일즈, Cornwall, Devon 지역에 많은 Deisi사람들이 정착했다고 하는 상기 자료는 주목을 요하는 부분이다. 백제와 고구려의 전투지역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웨일즈 지역에서는 곤미천(Conwy river), 청목산지역에서 백제 온조왕 시기부터 말갈과 전투가 있었다. 이 시기의 말갈은 고구려세력인지 아니면 아일랜드지역의 Deisi집단이나 지역적 소왕국의 세력인지 아직 알 수 없다. 그러나 고구려가 기원후 72-74년에 조나국 주나국 등을 속국으로 지배했으니 이러한 복속세력의 일부인지도 모른다. 특히 숙신의 단로성을 중천왕 시기에 빼앗은 것을 보면, 고구려의 복속세력이나 아님 독립적인 소왕국일 가능성이 많다. 이들은 또한 켈트족의 문화를 지녔으며, Mithraism의 일부 스키타인의 잔재도 보인다. Cornwall지역은 West Wales라고 불릴 정도로 Wales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Cornwall의 바로 옆에 있는 Devon지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Déisi were a social class in Ireland between the ancient and early medieval period. The various peoples listed under the heading déis shared a similar status in Gaelic Ireland, and had little or no actual kinship, though they were often thought of as genetically related.[citation needed] During the era of Roman rule in Britain, many members of the Déisi were recorded as settling in western coastal areas (especially the areas known later as Wales, Cornwall and Devon).

​Deisi는 고대와 초기 중세시기 사이의 아일랜드의 사회적 계급이다. 많은 부족들이 Deisi란 타이틀 하에 Gaelic 아일랜드에서 유사한 신분을 누리고 있었으며, 실제적 혈연관계는 없었으나, 유전적으로는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의 브리튼 지배시기에, Deisi의 많은 사람들이 서쪽 해안(특히 Wales, Cornwall, Devon지역으로 알려진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기록된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Devon area in England (source : Wikipedia)

 

During the early Middle Ages, some Déisi groups and subgroups exerted great political influence in various parts of Ireland. For instance, in Munster, a subgroup of Déisi constituted a regional kingdom, Déisi Muman which ruled modern day County Waterford and South Tipperary, and were part of the hegemony of the Eoganachta confederacy.

초기 중세시기에, 몇몇 Deisi 그룹과 하부그룹은 아일랜드의 여러 분야에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예를 들어, Munster에서는 Deisi의 하부그룹이 지역 왕국, Deisi Muman(오늘날 Waterford county와 South Tipperary지역(아래 지도 참조)을 지배했다)을 구성했고, Eoganachta confederacy의 헤게모니의 일부였다.  (상기 내용)

 

 

Etymology

Déisi is an Old Irish term that is derived from the word déis, which meant in its original sense a "vassal" or "subject" and, in particular, people who paid rent to a landowner.[1] As such, it denoted a specific social class. Later, however, it was more often used as a collective term for the members of particular septs,[2] regarded as originating in that social class.

 

Deisi는 단어 Deis에서 온 고대 아일랜드어인데, 이는 원래, 속국 또는 피지배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와 같이 특수한 사회적 계층을 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사회적 계층에서 출발한 것으로 여겨지는 septs (씨족집단)의 특별한 구성원들의 집단을 나타내는 단어로 더 자주 쓰였다. (상기 내용)

History and contexts

The early histories of the Déisi groups are obscure. Evolving from peoples connected by social status rather than kinship, these groups had largely independent histories in different regions of Ireland. While some medieval texts attempt to give the Déisi an aristocratic origin, these are later fabrications dating to the period after the Déisi had gained political power.[3] Despite their tributary origins, representatives of at least one Déisi population would eventually achieve spectacular success, founding a powerful medieval dynasty which is still in existence.

 

​Deisi그룹의 초기 역사는 불확실하다. 혈연관계보다 사회적 계층으로 연결된 부족으로 진화하여, 이 그룹들은 아일랜드의 여러 지역에서 매우 독립적인 역사를 가졌다. 어떤 중세의 텍스트는 Deisi에게 귀족계급에 속한다 하였으나, 이는 후에 Deisi가 정치적 힘을 가졌을 때 만든 것이다. 이들의 부족적 근원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Deisi인구의 대표들은 궁극적으로 특별한 성공을 이루고 아직도 존재하는 힘있는 중세의 왕조를 만들었다.  (상기 내용)

 

Déisi groups included the Déisi Muman (the Déisi of Munster), Déisi Temro (Déisi of Tara), Déisi Becc ("Little Déisi," located in the Kingdom of Mide) and the Déisi Tuisceart (the Northern Déisi; a sept of which would become famous as the Dál gCais).

Today, 'Déisi' is an informal term for County Waterford and its people.[4]

Deisi 그룹은 Deisi Muman(Muster Deisi), Deisi Temro(Tara Deisi), Deisi Becc (Mide 왕국에 위치한 Little Deisi) 그리고 Deisi Tuisceart (북쪽의 Deisi; Dalg Cais라고 유명한 씨족)을 포함했다. 오늘날 Deisi는 Waterford 카운티(아래 지도 참조)와 그의 사람들을 말하는 비공식적 단어이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County of Waterford (Green), Ireland (source : Wikipedia)

 County of Tipperary in Ireland (source : Wikipedia)

 

"Déisi Muman

See also: List of monarchs of Déisi Muman and Declán of Ardmore

The Déisi Muman were a prominent enough power to form their own regional kingdom in Munster from a fairly early date. In a recent title, Paul MacCotter states "The regional kingdom of Déisi Muman must have existed in roughly its present location from a very early period. Oghams dating perhaps from the fifth century record unique first names associated with its kings."[5] According to Francis John Byrne, there are certain inscriptional hints that both the Eóganachta and their Waterford Déisi vassals may have been of fairly recent Gaulish origins.[6] The ancestors of the Eóganachta are known as the Deirgtine and they are also believed to have been active in Roman Britain, one piece of evidence being the name of their capital Cashel, thought to be inspired by the Roman castella they observed on raids.[7] The Déisi Muman enjoyed a position in the later Eóganachta overkingdom suggesting a special relationship. Byrne mentions it was noticed by Eoin MacNeill that a number of the early names in the Eóganachta pedigrees are found in oghams in the Déisi country of Waterford, among them Nia Segamain (NETASEGAMONAS), after the Gaulish war god Segomo.[8] According to MacNeill, the Waterford Déisi and the Eóganachta at Cashel "cannot well be disconnected".[9]

​꽤 이른 시기부터 Munster지역에 자신들의 지역 왕국을 가질 만큼 Deisi Muman은 힘있는 왕국이었다. 오겜이 5세기부터 왕과 관련한 이름이 기록된 것을 보면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현재 위치에서 Deisi Muman 지역 왕국이 존재했었다고 Paul MacCotter는 말한다. Francis John Byrne에 의하면, 어떤 기록은 Eoganachta와 그들의 Waterford Deisi 속국은 아주 최근의 Gaul족 오리진이었다 암시하고 있다. Eoganachta조상은 Deirgtine으로 알려지며, 이들은 로마 브리튼 시대에 활동적이었다고 믿어진다. 그 증거의 하나가 이들의 수도 Cashel이름인데, 이는 그들이 raids시에 목격한 로마제국 성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Deisi Muman은 Eoganachta왕국에서 특별한 관계를 가지고 지위를 누렸다. Eoganachta가계에서 초기의 많은 이름들은 Waterford Deisi 카운티에서 오겜으로 발견된다. ..Macneill에 의하면, Waterford Deisi와 Cashel의 Eoganachta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 한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아일랜드의 Waterford Deisi와 Eoganachta가 Gaul족 오리진이라는 것은 이들이 켈트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가 추정하는 스키타인과 켈트인의 연관성이 여기서도 나타난다. 

 

The Uí Liatháin dynasty were western neighbours of the proto-Déisi Muman along the southern Irish coast and raided and colonized parts of Wales and Cornwall. They are the best characterized of the South Irish colonists because of clear references to them by name in both early Irish and early British sources, while the presence of the Déisi Muman cannot actually be confirmed.[10] Also noted are the Laigin, particularly in North Wales.[11]

Ui Liathain왕조는 아일랜드 남부 해안의 범 Deisi Muman의 서쪽 이웃들이었으며, Wales와 Cornwall의 일부를 침략하여 식민지화했다. 그들은 초기 아일랜드 자료와 초기 브리턴 자료에서 이름으로 확연한 언급으로 남부 아일랜드 식민지개척자로 잘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Deisi Muman의 출현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북웨일즈에서 Laigin이 언급된다. (상기 내용) (아래 지도 참조)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Ui Liathain왕조가 범 Deisi-Muman 이웃으로서 Wales, Conwall, 북 웨일즈에 진출한 것이 언급되는 상기 내용은 고구려의 백제 웨일즈 공격에 가담한 것을 의미한다고 필자는 추정한다. 시기도 300년대 말기로 광개토태왕의 이 지역  공취한 성들의 위치와 일치한다. 광개토태왕이 이 지역의 켈트족, 스키타인 문명의 지역과 협력하는 것은 중부 유럽에서 그랬던 것처럼 고조선의 후예들과 협력한 것이 아닌가 한다. 

South Irish Settlement in Britain (source : Wikipedia)

 

8. 아일랜드 중심세력의 브리튼 서해안으로의 이동

 

Possible presence in Britain (브리튼에의 출현 가능성)

The Déisi Muman are the subjects of one of the most famous medieval Irish epic tales, The Expulsion of the Déisi.[12] This literary work, first written sometime in the eighth century, is a pseudo-historical foundation legend for the medieval Kingdom of Déisi Muman, which seeks to hide the historical reality that the kingdom's origins lay among the indigenous tributary peoples of Munster. To this end it attributes to "the Déisi" an entirely fictive royal ancestry at Tara.[1] The term "Déisi" is used anachronistically in The Expulsion of the Déisi, since its chronologically confused narrative concerns "events" that long pred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éisi communities into distinct tribal polities or the creation of the kingdom of Déisi Muman.[3] The epic tells the story of a sept called the Dal Fiachach Suighe, who are expelled from Tara by their kinsman, Cormac mac Airt, and forced to wander homeless. After a southward migration and many battles, part of the sept eventually settled in Munster.

Deisi Muman은 가장 유명한 중세의 아일랜드 이야기중의 하나인 The Explusion of the Deisi의 주제이다.  이 이야기는 8세기의 어느 시점에 쓰였는데, 중세의 Deisi Muman 왕국의 건국신화에 관한 가짜 역사적 이야기이며, 이 왕국의 오리진이 Munster의 지역의 토착 부족에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감추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the Deisi를 Tara의 완전히 가공적인 왕조 조상이라 한다. Explusion of the Deisi에서는 Deisi는 사대착오적으로 이용된다. 왜냐하면 Deisi community의 역사적  발달에 앞선 "events" 를 분명한 부족 정치체계 또는 Deisi Muman왕국의 설립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 서사는 그들의 친족 Cormac mac Airt에 의해 Tara에서 쫓겨나서 홈리스로 방황한  Dal Fiachach Suighe라 불리는 씨족의 이야기를 말한다. 남쪽으로의 이주와 많은 전쟁후에, 씨족의 일부가 결국 Munster에 정착했다. (상기 내용)

 

 

At some point during this migration from Tara to Munster, one branch of the sept, led by Eochaid Allmuir mac Art Corb, sails across the sea to Britain where, it is said, his descendants later ruled in Demed, the former territory of the Demetae (modern Dyfed).

 

​Tara에서 Munster로 이동하는 어느 시점에, 한 씨족(sept)이 바다를 건너,  브리튼으로 가서 그의 후손들이 Demed, Demetae(현재의 Dyfed)의 이전 영토를 지배했다 한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 Tara지역은 왕들이 추대되는 상징적인 지역이다. 따라서 Tara에서 Munster지역으로 이동하고 브리튼의 Dyfed지역으로 이동했다는 것은, 아일랜드의 중심세력이 Dyfed지역을 식민지화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The Expulsion of the Déisi is the only direct source for this "event". The historicity of this particular passage of the epic apparently receives partial "confirmation" from a pedigree preserved in the late tenth-century Harleian genealogies, in which the contemporary kings of Dyfed claim descent from Triphun (fl. 450), a great-grandson of Eochaid Allmuir, although the Harleian genealogy itself presents an entirely different version of Triphun's own ancestry in which he descends from a Roman imperial line traced back to St. Helena, whose alleged British origin the genealogist stresses.[13]

이러한 이벤트는 오직 The Expulsion of the Deisi 자료에서만 직접 언급된다. 10세기 후반의 Harleian genealogies에서 보존된 가계에서 일부 확인되는데, 여기서는 Dyfed왕들이 Triphun(Eochaid Allmuir의 증손자)의 후손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Harleian genealogy는 전혀 다른 버전의 Triphun의 조상을 말하는데, 여기서 그는 St. Helena로 거슬러 올라가는 로마의 황제라인의 후손이라 한다. St. Helena는 브리튼 조상의 후손이라 계보학자는 강조한다. (상기 내용) 

 

This manifest fiction apparently reflects a later attempt to fabricate a more illustrious and/or indigenous lineage for the Dyfed dynasty, especially as other Welsh genealogical material partially confirms the Irish descent of Triphun.[14] If the relocation of some of the "Déisi" to Dyfed is indeed historical, it is unclear whether it entailed a large-scale tribal migration or merely a dynastic transfer, or both as part of a multi-phase population movement.[15] However this movement is characterised, scholarship has demonstrated that it cannot have taken place as early as the date implied in The Expulsion of the Déisi (i.e. shortly after the blinding of Cormac mac Airt, traditionally dated AD 265), but must have begun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fourth century at the earliest,[16] while commencement in the sub-Roman period in the early fifth century cannot be excluded.[17] It is further entirely possible that the historians and genealogists of the Déisi Muman were guilty of lifting these "verified" ancestors, who could have originally belonged to another Irish kindred entirely. Genealogical feats of this kind were famously performed by the Déisi Tuisceart or "Dál gCais".[citation needed]

 

이러한 명백한 fiction은 Dyfed 왕조의 보다 찬란하고 토착적인 계보를 만들려는 시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른 웨일즈 계보 자료가 Triphun의 아일랜드인 자손임을 일부 확인하기 때문이다. 일부 Deisi 가 Dyfed로 이동하는 것이 역사적이라면, 그것이 대규모의 부족이동이었는지 단순한 왕조의 이동이었는지 또는 다목적의 인구이동의 일부로서 모두였는지 불확실하다. 그러나 이런 이동은 The Explusion of the Deisis가 말하는 265년 같이 일찍 일어날 수 없다는 학자들의 의견이다.  빨라도 4세기후반에 시작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5세기초의 로마철수후의 시기에 시작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상기 내용 즉 265년에 Deisi일부가 Dyfed로 이동했다는 역사를 백제와 고구려의 역사와 비교하고자 하였으나 265년에 대한 삼국사기의 기록은 백제, 고구려 모두 공백으로 나타난다. 의도적인 역사 감추기의 일환의 결과로 보인다.(아래 자료 참조). 그러나 고구려 중천왕이 251년 관나부인을 서해에 버리는 사건과 백제 고이왕이 236년 서해에서 사냥했다는 기록은 이미 고구려, 백제가 이 시기에 대서양에 진출했다고 추정된다. (하기 자료 내용). 특히 고구려 서천왕 시기에는 280년 숙신의 단로성을 빼앗았으므로, 의문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필자는 상기 The Explusion of the Desis내용이 사실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위키피디아 필진의 의도적인 냄새도 난다. 물론 4세기후반과 5세기초에도 웨일즈 지역에서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각미성, 관미성, 수곡성, 가루성, 청목진)가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바, 이러한 학자들의 추정도 일리가 있다고 본다. 

 

** 고구려 중천왕 시기 (248-270)

 

四年夏四月 왕이 관나부인을 죽이다 (251)

 

AD 263-269 : 7년 공백

서천왕 시기 (270-292)

十一年冬十月 왕의 동생 달가를 보내 숙신의 단로성을 빼앗다 (280)

 

** 백제 고이왕 시기 (234-286)

三年冬十月 서해에서 사냥하다 (236)

 

AD 263 - 265 : 3년 공백

 

(자료 : 삼국사기, 나무위키)

 

The term déisi is also virtually interchangeable with another Old Irish term, aithechthúatha (meaning "rent-paying tribes", "vassal communities" or "tributary peoples"). From the 18th century, it had been suggested that this term might be the origin of the Attacotti who are reported attacking Roman Britain in the 360s, although the argument has been doubted on etymological grounds. This argument has recently been reopened, however, by a proposed equation of déisiaithechthúathaAttacotti in a late fourth-century context.[18]

 

 

Deisi라는 단어는 다른 고대 아일랜드어 단어 aithechthuatha(지대를 지불하는 부족들, 속국 커뮤니티 또는 부족 사람들을 의미하는)로  사실상 대체할 수 있는 단어이다.  ​18세기부터는 Deisi라는 단어가 360년대에 로마 브리튼을 공격한 것으로 보고되는 Attacotti에서 나온 것이라 제시된다. 다만 이러한 주장은 어원적 측면에서는 의문시된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에 다시 제기되었는데, Deisi는 4세기후반의 text에서 aithechthúatha Attacotti와 같은 것이라는 주장이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9. Deisi, Attacotti는 스키타인 문화

 

위에서 언급한 360년 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인, 앵글로색슨인이 공동으로 로마 브리튼을 공격했다는 내용이 Attacotti와 여기서 다시 거론되는 것 같다. 그런데 아래 Attacotti자료에서는 364-368년의 구체적인 연대가 나타난다. 아래 자료는 이들의 근원지가 스코틀랜드인지 아일랜드인지 불확실하다고 한다.

 

그러나 필자는 그들의 생활관습상 스키타인이 아닌가 한다. 여성이 우월적 지위를 갖는 아마조네스 사회와 교류를 한 스키타이 역사가 중앙아시아에서 있었다. 스코틀랜드에 우연히 스키타인이 들렀다는 위키피디아 설명이나 아일랜드의 해양부족이라는 Gangani부족, 그리고 이들의 웨일즈 Llyn peninsula 진출, 그리고 아일랜드나 웨일즈에 스키타인의 종교인 Mithraism흔적이 있다는 것 등은 이러한 필자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필자는 이태리 북부에서도 스키타인 문명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 또한 켈트문명의 영향을 받았다 하며, 광개토태왕의 신성, 남소성 정복의 지역이 되었다 했다. 이 신성, 남소성 지역은 또한 광개토태왕의 수묘인제도에 포함된 성들이다. 즉 스키타인 문명, 켈트문명의 지역이 고조선의 영역이 아니었나 하는 필자의 추정을 밑받침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정에서 364-368년의 로마 브리튼 공격이 스키타인의 포함된 공격이라는 것은 고구려의 주도하에 백제를 공격한 것이 아닌가 하는 필자의 추정이 가능하다. 이 기간은 고국원왕 시기중 (356-368) 13년 공백, 근초고왕 시기중 (348-365) 18년 공백으로 삼국사기에서 기록이 공백으로 남아 있는 기간이다. 

 

"Attacotti, Atticoti, Attacoti, Atecotti, Atticotti, and Atecutti were Latin names for a people first recorded as raiding Roman Britain between 364 and 368, alongside the Scoti, Picts, Saxons, Roman military deserters and the indigenous Britons themselves. The marauders were defeated by Theodosius in 368.

The exact origins of the Attacotti and the extent of their territory are uncertain, although historians usually place them in either Scotland or Ireland.[1][2][3] In about 400, Roman units recruited among the Attacotti were recorded in the Notitia Dignitatum, and one tombstone of a soldier identified as such is known. Their existence as a distinct people is given additional credence by two incidental claims that they practised cannibalism and polyandry (wives in common) in the writings of Saint Jerome.

[출처] <펌>Attacotti (tribe) - wikipedia|작성자 CG Park

 

10. Deisi Tribe의 5세기 중반 웨일즈 Brecon Beacons지역 진출

 

Finally, MacNeill discusses the movements of the Uí Liatháin mentioned above at considerable length, arguing their leadership in the South Irish conquests and founding of the later dynasty of Brycheiniog, figures in the Welsh genealogies matching Uí Liatháin dynasts in the Irish genealogies. He argues any possible settlement of the Déisi would have been subordinate until the ousting of the Uí Liatháin by the sons of Cunedda.[19]

마지막으로 MacNeill은 Ui Liathain의 이동에 대해 논쟁하는데, 남부 아일랜드인의 지배층은 후일 Brycheiniog왕국(웨일즈의 중남부 Brecon Beacons지역)을 세운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웨일즈의 계보가 아일랜드 계보의 Ui Liathian왕조와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는 Cunedda의 아들들에 의해 Ui Liathain이 쫓겨나기까지는 Deisi의 정착여부는 부수적인 것이라 주장한다. (상기 내용)

(source : Deisi, wikipedia, 인용출처 :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아일랜드)

 

상기 내용에서 남부 아일랜드 세력이 웨일즈의 중남부 Brecon Beacons지역에 Brycheiniog왕국(450년이후- )을 세웠다는 기록은 장수왕 시기의 개로왕과의 싸움을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개로왕은 469년 청목령에 목책을 두르고 쌍현성을 수리했다는 것에 대해 필자의 아래 글에서 언급했다. 

 

https://lostcorea.tistory.com/1930

 

백제와 고구려가 싸운 청목진과 청목령은 Wales에 있었다.

I. 서 론 지난 글에서 필자는 곤미천과 청목산에 대한 글을 썼다. (아래 필자의 글 참조). https://lainfos.tistory.com/520 백제가 말갈과 싸운 지역인 곤미천, 청목산은 웨일즈에 있었다.I. 서 론 필자는

lostcorea.tistory.com

 

 

 

III. 결 론

 

이상으로 광개토태왕이 정복한 가루성의 추정에 대한 분석을 마치고자 한다. 가루성 자체에 대한 자료가 빈약하여, 주위 성곽지역을 살펴 본 결과, 이 지역은 전략적 군사지역으로 로마의 성곽이 있었음이 확인되고, 아일랜드 세력의 이 지역 진출의 역사를 살펴 보건데, 고구려의 백제 웨일즈지역 진출로 추정되었다.

특히 Deisi라는 특수 씨족집단의 이동은 켈트족, 스키타인 문명의 영향권인 고조선의 후예들이 고구려의 광개토태왕의 정복원정에 동참한 역사로 추정된다. 이는 중부유럽에서, Burgundians, Vandals족 등과 함께한 역사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광개토태왕이 정복한 가루성이 Carew Castle이라는 것을 증거함과 동시에 광개토태왕의 고조선 후예들에 대한 연민의 정을 공감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것으로 미루어 추정할 때, 가루성도 수묘인제도의 한 지역이 될 수 있다 짐작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가루성은 국연 1, 간연 42(?)을 두는 것으로 광개토태왕 비문에 나타났다 한다. 필자의 이글에서의 추정이 올바르다는 것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