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고구려 20

Danes족 유전자 분포 지역은 고조선 영역인가?(III)

부제 : 스키타이 활동지역은 고조선의 영역과 관계가 있는가? Danes족의 유전자 분포지역이 고조선의 영역인가? 라는 주제로 시작한 글이 그 조상들의 지역 유전자 분포지역 연구로 이어졌고(아래 필자의 글 참조), 이제 스키타이 지역이 이들과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 보고자 한다.   https://paulcgpark.tistory.com/101 Danes족의 유전자 분포 지역은 고조선 영역인가?I. 머리말 Danes족은 덴마크지역을 홈랜드로 하는 부족이다. 필자는 이 지역이 단군과 관련 있는 지역이 아닌가 추정한다. 덴마크지역이 기원후 500년경의 두막루가 있던 지역으로 추정된다. 두막paulcgpark.tistory.com  https://lostcorea.tistory.com/1912 Danes족의 조..

한국사/고구려 2024.08.23

고구려의 영역은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I. 머리말 지난 글에서는 '신라의 동쪽 끝은 어디인가?'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번은 그동안 고구려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구려의 영역이 어떻게 되는지 헤아려 보고자 한다. 먼저 서쪽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가 보고자 한다. II. 대서양, 북해, 발트해, 지중해 주변 지역 1. 고구려 초기 (고주몽 - 태조왕) 최근의 환단고기 내용 연구에 의하면, 고구려의 초기 북부여를 이어 받은 지역은 스웨덴 남부 지역으로 추정된다. 비서갑과 하백, 홀본과 홀본천, 그리고 송양의 비류국 등과 관련하여, 그리고 흉노의 고향 약수, 북해의 귀퉁이, 동해의 안쪽에 있는 고조선의 위치 등을 고려한 결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의 글을 다 열거할 수 없고, 한국사 고구려 편을 보시면 될 것이다. '해모수란 이름이 왜..

한국사/고구려 2024.01.30

북부여를 계승한 고주몽이 고구려를 개국한 홀본지역은 어디인가?

부제 : 송양의 비류국과 비류수는 어디에 있었나? I. 머리말 필자는 송양의 비류국이 프랑스의 Vienne지방이 아닌가 했다. 그런데, 아래 청회수님의 비디오(7분 06초 화면)에서 삼국사기에 송양의 비류국이 바다 한쪽에 있었다고 말했다 한다. 그래서 다시 추정하고자 한다. https://youtu.be/nwExLfEwIac?si=Whr3YSIjVPcxEoCo (청화수, 백제 진짜 시조? 온조왕 비류 의문의 정체) "삼국사기 : 추모가 재사 등에게 일을 맡기고 홀본천에 이르니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산하가 견고해 마침내 도읍으로 정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었으므로 비류수가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추모가 어느 날 비류수가에 있었는데, 비류수 가운데로 채소 잎이 떠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한국사/고구려 2023.12.07

단군이 흉노에게 봉한 약수는 어디인가?

I. 머리말 지난 번 글에서 약수가 아시아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지리적 요건을 근거로 추정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러면 실제 약수가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아래 지난 번 글에서 살펴 보았던 약수에 대한 자료를 재게한다. "같은 3세 가륵 단군조에 그런 흉노에 대한 언급이 있다. 바로 “가륵 단군 6년 (B.C 2177, 갑진) 열양(列陽)의 욕살 색정(索靖)에게 명해 약수(弱水)로 옮기게 하고 종신토록 갇혀있도록 했다. 뒤에 이를 용서하시고 곧 그 땅에 봉하니 그가 흉노의 시조(匈奴之祖)가 됐다”는 기록이다. .....욕살은 한 지방을 다스리는 벼슬로 지금으로 치면 도지사급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흉노를 다스리던 색정(索靖)의 후손으로 보이는 색불루(索弗婁)가 흉노의 우현왕이..

한국사/고구려 2023.10.22

고구려 - 수, 당 전쟁은 유럽에서 있었다

필자는 요수를 프랑스의 론강으로 추정했다. 따라서 요서는 이 강의 서쪽 즉 프랑스지역이 된다. 따라서 중국사는 이 프랑스 지역에서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요동의 역사, 동이의 역사는 요수의 우측, 즉 론강의 우측에 있는 역사로 추정한다. 이와 관련 하여 필자는 그동안 많은 자료들을 검토하며, 이를 증명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 필자가 증명하지 못한 것이 있다. 즉 고구려와 수, 당의 큰 전쟁이다. 이는 누가 보아도 요수를 건너서 공격해 온 수나라, 당나라의 공격이며, 고구려가 잘 막아낸 역사이다. 그만큼 역사를 숨기고자 하는 역사 왜곡자들에게는 이 사실을 숨겨야 한다. 이것이 그대로 들어 나면 역사왜곡이 들통나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 많은 노력을 기울인 듯 하다. ..

한국사/고구려 2022.10.28

살수는 패수인 라인강의 지류 Saar river이다

필자는 이미 라인강을 패수라 추정했다. 따라서 살수는 패수의 지류라고 밝혀진 바 라인강의 지류에서 찾아야 한다. 그동안 살수를 찾지 못해 여러 가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신성로마제국에서 요나라 역사를 찾던 중, 고려와 거란의 전쟁 기록과 신성로마제국과 슬라브족의 전쟁 기록을 보면서 우연히 Saar river 를 알게 되었고, 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 후, 결국 살수를 찾게 되었다. 그리고 신라와 고구려의 살수에서의 전쟁 기록, 신라의 태백산에서의 제사 내용, 그리고 스위스에서 발견한 신라하의 존재 등의 연관관계를 살펴 본바, 이를 거의 확신하게 되어 이글을 쓰게 되었다. 우선 살수 관련 자료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 블로거 방랑자 님이 잘 정리하여 놓아 이를 인용한다. 필자의 네이버 블..

한국사/고구려 2022.09.03

Gokturk (고(高)씨 튀르크 ?)는 고구려인가?

1. 서 론 본 글에서는 'Gokturk (중공 사학자들은 돌궐이라 주장)가 고구려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페르시아가 신라라 추정했다. 그런데 7세기에 백제와 신라,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 시기에 Gokturk와 Persia의 전쟁 역사가 서양사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돌궐과 신라의 전쟁 역사는 한국사에 없다. 그래서 혹시 Gokturk와 페르시아 전쟁이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이 아닌가 한다. 아래 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Gokturk의 지배영역을 보면 고구려로 판단되는 흉노의 지배영역과 유사하다. 따라서 충분히 합리적 의심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필자는 고구려가 서유럽까지 진출했다고 확신하지만, 동부 아시아에 있는 고구려의 벽화를 설명하려면 이 지역까..

한국사/고구려 2022.07.01

고구려 장수왕이 유연과 함께 분할지배하려던 지두우는 어디인가?(수정본)

그동안 필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3국의 역사의 무대가 유럽과 페르시아에 걸쳐 있었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에는 유연과 함께 지두우를 도모한 고구려 장수왕 시기의 역사를 통해 다시 한번 필자의 상기 주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우선 지두우에 관한 사료를 살펴 보고, 이어 유연에 관한 자료를 살펴 보고자 한다. 그리고 타타르로 판단되는 지두우와 아바르족으로 판단되는 유연의 위치를 검토하며, 장수왕 시절의 고구려의 영토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1. 지두우 1) 중국의 북적 중 하나. 아래 자료에 의하면 5세기 당시 지두우는 중국의 16개 북쪽 이민족의 하나라는 것이다. 필자는 중국이 프랑스의 론강 서부에 있다고 추정했다. 따라서 프랑스에 있던 중국의 위치에서 북쪽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나라..

한국사/고구려 2022.06.24

고구려, 백제, 신라, 중국사, 로마사를 통한 고구려 수도 위치 추정 (2) (수정본)

부제 1: 고구려의 평양성 위치 추정의 검증 부제 2: 고구려 소수림왕은 전진의 부견인가? 부제 3: 백제의 수곡성, 치양성 위치 추정 지난 글에 이어 고구려 소수림왕시기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며, 고구려의 수도, 특히 평양성의 위치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백제의 근초고왕과 근구수왕의 평양성 공격과 관련되기도 하므로, 관련하여 분석하며, 수곡성, 치양성에 대한 위치 추정도 겸하고자 한다. 그리고 고구려의 소수림왕은 전진의 부견과 많은 유사점이 있는 바, 이에 대해서도 1차적으로 검토하며, 연관되어 있는 고국원왕 시기의 분석도 겸하고자 한다. V. 소수림왕 시기 고구려와 백제, 전진 상황을 고려한 평양성 위치 추정 - 고구려 소수림왕 (371-384) 시기 二年夏六月 전진에서 불교가 전래되다 (372) 二年..

한국사/고구려 2021.09.25

고구려, 백제, 신라, 중국사, 로마사를 통한 고구려 수도 위치 추정 (1)

지난 번 글 발해고를 통한 고구려의 국내성, 환도성, 평양성을 추정해 보았다. 론강을 압록수, 즉 요수로 판단했을 때, 발해고 자료에 나타난 중국 사서 내용을 바탕으로 거리를 계산 한 바에 의하면, 국내성은 쥬네브 정도로 나타났고, 환도성은 Bern 또는 Fribourg정도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평양성은 스위스의 쥬리히가 아닌가 추정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추정 결과가 고구려 역사에서 나타나는 정황과 맞는지 아니면 틀리는지를 검증하는 글이다. 국내성, 환도성은 고구려 초기 중국측과의 마찰로 인해 자주 거론되는 도시이다. 또한 평양성은 백제 근초고왕, 근구수왕과의 전쟁에서 언급되며, 고구려의 동천왕시기, 고국원왕 시기, 광개토태왕 시기, 장수왕 시기에 언급되는 도시이기도 하다. 그리고 산라 진흥왕 시기와..

한국사/고구려 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