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필자는 각미성은 사방이 바닷물과 절벽으로 되어 있는 섬에 있다는 서술에 기인하여 웨일즈의 Holy Island에 있는 Gybi Fort라 했다. (아래 글 참조)
https://paulcgpark.tistory.com/111
드디어 각미성을 찾았다
I. 머리말 그동안 고구려 광개토태왕이 백제의 각미성(광개토태왕 비문 속의 이름)(관미성:삼국사기 속의 이름)이 어디인지 궁금하였는데, 최근 광개토태왕이 점령한 성들의 위치를 찾는 과정에
paulcgpark.tistory.com
또한 이 근처 Gwynedd지역에 있는 Segontium Fort가 수곡성이라 추정했다. (아래 글 참조)
https://blog.naver.com/lainfos/223966161009
광개토왕 시기 고구려와 백제의 전투지역인 수곡성은 어디인가?
I. 서 론 필자는 얼마 전 광개토태왕이 함락한 광개토태왕의 비문에 나타난 각미성에 대해 글을 썼다. (아...
blog.naver.com
그리고 관미성과 각미성을 연구하면서 이들이 서로 다른 성이고, 이는 관미성 근처에 관미령이 있기 때문이라 추정했다. (아래 글 참조)
https://blog.naver.com/lainfos/223968660215
광개토태왕이 함락한 관미성과 각미성은 별도의 성이다.
I. 서 론 필자는 최근에 웨일즈의 Caer Gybi성이 각미성이란 아래 글을 썼다. 사방이 절벽으로 된 지형...
blog.naver.com
상기 글에서 관미성은 웨일즈의 Conwy Fort라 추정했으며, Conwy Valley가 관미령이라 추정했다. 그런데 아래 백제 온조왕 시기 말갈과의 전투에서 곤미천이라는 강이 언급된다. (아래 자료 참조)
"말갈이 북쪽 국경을 침입하다 ( 기원전 9년 10월 )
〔10년(B.C. 9)〕 겨울 10월에 말갈이 북쪽 경계를 노략질하였다. 왕이 군사 200명을 보내 곤미천(昆彌川)가에서 막아 싸우게 하였다. 우리 군사가 거듭 패배하여 청목산(靑木山)에 의지해서 스스로를 지켰다. 왕이 친히 정예 기병 100명을 이끌고 봉현(烽峴)으로 나가서 구원하니 적들이 보고서 곧 물러갔다."
(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백제 온조왕, 인용출처 : 본 블로그, 카테고리, 백제)
필자는 Conwy river가 관미강(관미천)이라 추정했는데, 이 관미강이 곤미천(관미천)이 아닌가 한다. 만약 필자의 추정이 맞다면, 이 곤미천이 언급되는 백제 온조왕 시기의 말갈과의 전투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즉 고구려와 백제의 이 근처 지역 싸움이 온조왕 시기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Conwy river in Gwynedd, Wales (source : Wikipedia)
그렇다면 이 지역에서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이 접하는 지역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즉 서로마제국 지역이 아닌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지역과 Hadrian Wall이 생기기 전까지의 북쪽 잉글랜드지역은 고구려의 지역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광개토태왕 시기의 수곡성 전투, 각미성 전투, 관미성 전투에서 Irish raids란 말이 자주 나오고, 아일랜드 전설에서 Red Hand(Red Glove)를 가진 Niall왕이 Nine Hostages를 가졌다는 이야기가 광개토태왕을 언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했는데, 이미 그전부터 고구려가 이 근처에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이런 이야기와 궤를 같이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닌, 곤미천의 웨일즈 Conwy river 여부를 밝히기 위해 이제 하나씩 살펴 보며 알아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 동시에 언급되는 청목산이 이 근처에 있을 가능성이 있는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II. 본 론
먼저 Conwy river가 곤미천인가를 알기 위해 Conwy river자료를 다시 보고자 한다. Conwy river 주위에 청목산이 되는 지형이 있는가도 매우 중요한 확인 조건이 된다.
1. Conwy river와 곤미천
"The River Conwy (Welsh pronunciation: [ˈkɔnʊɨ]; Welsh: Afon Conwy) is a river in north Wales. From its source to its discharge in Conwy Bay it is 55 kilometres (34 mi) long and drains an area of 678 square km.[2] "Conwy" was formerly anglicised as "Conway."
The name 'Conwy' derives from the old Welsh words cyn (chief) and gwy (water), the river being originally called the 'Cynwy'.[3][4][5][6]"
Conwy 강은 웨일즈 북쪽에 있는 강인데, 강의 원천에서 Conwy 만까지 55km길이며, 강물이 흘러가는 지역은 678 제곱킬로이다. Conwy는 Conway로 영문화되었다.
Conwy이름은 고대 웨일즈 단어 cyn(chief)와 gwy(water)란 단어에서 왔으며, 이 강은 원래 Cynwy라 불리웠다.
........
To the west, the catchment is underlain by older Cambrian rocks which are harder and the landscape is, as a consequence, more dramatic with high craggy hills and mountains, through which the river falls in cascades and waterfalls. Examples of torrential river geomorphology can be seen at Conwy Falls and in the Lledr Gorge. The land to the east is highly forested with planted non-native conifers.
Conwy강 서쪽으로는 담수지역이 단단한 캄브리아기 바위아래 있고, 그래서 풍경은 높은 험준한 바위투성이의 언덕과 산들의 드라마틱한 광경이며, 폭포들이 있다. 쏟아지는 강물 지형의 예는 Conwy 폭포와 Liedr 협곡에서 볼 수 있다. 동쪽의 땅은 원산지가 아닌 conifers가 심어진 높은 숲이다. (상기 내용)
On the western side of the valley are a number of lakes and reservoirs. The rocks are also rich in minerals and there are many abandoned mine sites where copper, lead and silver have been mined since Roman times.
Conwy Valley(관미령)의 서쪽에는 많은 호수와 저수지가 있다. 바위들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로마시대부터 캐온 많은 구리, 납, 은의 광산들이 버러져 있다. (상기 내용)
.............
The scattered communities along the Conwy valley have ancient traditions with archeological evidence of habitation back to the Stone Age. The Romans occupied this area up to 400 AD and there has been continuous habitation since that time.
Conwy계곡(관미령)에 따라 흩어진 마을들은 석기시대부터의 거주의 흔적이 있으며, 고대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로마인들은 이 지역을 AD 400년까지 점하였으며, 그후로도 계속 사람들이 살았다. (상기 내용)
(source : River Conwy,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즉 Conwy river(관미천,곤미천)의 서쪽으로는 험한 산과 협곡, 폭포들로 되었으며, 호수와 저수지가 많고, 로마시대부터 존재한 구리, 납, 은 광산들이 있었다. 거주지역은 석기시대부터 있었으며, 로마인들은 AD 400년 이후 떠났으며, 그후로도 주민들은 계속 거주했다.
이는 일차적으로 곤미천이 Conwy river라는 것을 확인해 준다. 그리고 AD 400년 이후 로마인들이 떠났다는 것은 광개토태왕이 이 지역의 관미성과 관미령을 점령하여 백제가 이 지역을 떠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곤미천인 Conwy river의 서쪽에 험한 산과 협곡이 있다는 것은 이 지역에 청목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청목산 여부에 대해 아래에서 좀더 알아 보자.
The Town Of Conway : Its Church, Plas Mawr, Wall, Tower, &c, as seen from the battlement of the castle (1850) (source : Wikipedia)
2. 곤미천과 청목산
곤미천이 언급되는 아래 온조왕의 기록에서 곤미천에 이어 청목산이 언급된다. 곤미천에서 싸우며 패배를 거듭하다가 청목산으로 들어가 겨우 스스로를 지켰다 했다. 즉 곤미천과 청목산은 바로 가까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Conwy river가 곤미천이라면, 근처에 청목산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곤미천과 청목산이 이 웨일즈 지역에 있는지 살펴 보자.
"말갈이 북쪽 국경을 침입하다 ( 기원전 9년 10월 )
〔10년(B.C. 9)〕 겨울 10월에 말갈이 북쪽 경계를 노략질하였다. 왕이 군사 200명을 보내 곤미천(昆彌川) 가에서 막아 싸우게 하였다. 우리 군사가 거듭 패배하여 청목산(靑木山)에 의지해서 스스로를 지켰다. 왕이 친히 정예 기병 100명을 이끌고 봉현(烽峴)으로 나가서 구원하니 적들이 보고서 곧 물러갔다."
(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백제 온조왕, 인용출처 : 본 블로그, 카테고리, 백제)
1) Conwy river 주위 지형
"To the west, the catchment is underlain by older Cambrian rocks which are harder and the landscape is, as a consequence, more dramatic with high craggy hills and mountains, through which the river falls in cascades and waterfalls. Examples of torrential river geomorphology can be seen at Conwy Falls and in the Lledr Gorge. The land to the east is highly forested with planted non-native conifers.
Conwy강 서쪽으로는 담수지역이 단단한 캄브리아기 바위아래 있고, 그래서 풍경은 높은 험준한 바위투성이의 언덕과 산들의 드라마틱한 광경이며, 폭포들이 있다. 쏟아지는 강물 지형의 예는 Conwy 폭포와 Liedr 협곡에서 볼 수 있다. 동쪽의 땅은 원산지가 아닌 conifers가 심어진 높은 숲이다. (상기 내용)
즉 Conwy강 서쪽으로는 아래와 같은 험준한 바위투성이의 산들로 되어 있어 폭포와 협곡이 많다했다. 이는 Snowdonia National Park지역이 되어 있다. (아래 지도 참조)
Snowdonia National Park Relief map (source : Wikipedia)
2) Snowdonia
"Geology
The geology of Snowdonia is key to the area's character. Glaciation during a succession of ice ages has carved a distinctive rocky landscape from a heavily faulted (단층)and folded succession of sedimentary (퇴적암)and igneous rocks.(화성암). The last ice age ended only just over 11,500 years ago, leaving features attractive to visitors, ........
Snowdonia의 지질학은 이 지역의 특징이다. 연이은 빙하기의 빙하작용은 심한 단층과 퇴적암과 화성암의 연속적인 퇴적으로 인하여 확연한 바위투성이의 풍경을 만들었다. 마지막 빙하기는 11,500년전에 끝나서 방문자들에게 매력적인 광경을 제공한다. ...
Geography
Mountains
The principal ranges of the traditional Snowdonia are the Snowdon massif itself, the Glyderau, the Carneddau, the Moelwynion and the Moel Hebog range. All of Wales' 3000ft mountains are to be found within the first three of these massifs and are most popular with visitors. To their south within the wider national park are the Rhinogydd and the Cadair Idris and Aran Fawddwy ranges. Besides these well-defined areas are a number of mountains which are less readily grouped, though various guidebook writers have assigned them into groups such as the "Arenigs", the "Tarrens" and the "Dyfi hills".[24]
Snowdonia의 주요 지역은 Snowdon massif 자체이다. ..모든 3000 피트 웨일즈의 산들은 이 지역에 있다. ....
Snowdon's summit at 1,085 metres (3,560 feet) is the highest in Wales and the highest in Britain south of the Scottish Highlands. At 905 metres (2,969 feet), Aran Fawddwy is the highest in Wales outside of northern Snowdonia; Cadair Idris, at 893 metres (2,930 feet), is next in line.
Snowdon의 정상은 1085미터(3560 피트)인데 웨일즈에서 제일 높으며, 스코틀랜드 산악지대의 남쪽 브리튼에서 가장 높다. 905미터(2969피트)의 Aran Fawddwy는 Snowdonia북쪽 밖의 웨일즈에서는 가장 높다. Cadair Idris는 893미터(2960피트)로 그 다음이다. (상기 내용)

Panorama of some of the Snowdon Massif including Snowdon (centre right) taken from Mynydd Mawr. The Glyderau are visible in the distance.
(source : Snowdonia,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The name "Snowdon" is first recorded in 1095 as Snawdune, and is derived from the Old English elements snaw and dun, meaning "snow hill".[7][8]
Snowdon이란 이름은 1095년 Snadune으로 처음 기록되었다. 이 이름은 고대 영어 snaw와 dun으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이는 snow hill (눈 언덕) 의미이다. (상기 내용)
.......
Climate
In winter, Snowdon often has a covering of snow (giving rise to its English name).[28] Although the amount of snow on Snowdon in winter varies significantly, 55% less snow fell in 2004 than in 1994.[29] The slopes of Snowdon have one of the wettest climates in Great Britain, receiving an annual average of more than 5,100 mm (200 in) of precipitation.[30]
겨울에는 Snowdon은 자주 눈으로 덮혀있다. Snowdon 겨울의 강설량은 심히 변하는데, 1994년 보다 2004년에는 55% 강설량이 줄었다. Snowdon의 경사지는 영국에서 가장 습한 기후의 하나인데, 일년 평균 강수량이 5100mm (200인치) 이상이다. (상기 내용)
(source : Snowdon,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즉 지형적으로 conwy river의 서쪽은 3000피트의 산들로 구성되어 있어, 곤미천의 좌측에 청목산의 지형이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1000미터 정도의 산맥으로 병력들이 접근할 수 있는 높이이다. 상기 자료에서 보듯이 snonwdon은 snow hill이라는 뜻이며,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산이다. 이 지역은 영국에서 가장 습한 지역으로 일년 평균 강수량이 5100mm이상이다.
3) Snowdonia 지역의 역사
이 지역의 역사에 대해서는 이중 하나인 Carneddau의 설명에서 언급되어 아래 소개한다.
"History
This area was first colonised in Neolithic times, when Stone Age farmers started clearing the native forests of oak and birch that covered all but the uppermost ridges and summits. They were followed by Bronze Age people who cleared more forests and erected standing stones across the uplands. There are more than one thousand ancient monuments on the Carneddau estate (the land owned by the National Trust, which covers the Carneddau and the Glyderau ranges).[2] The remains of circular stone huts dating back to this time have been found and the cairns on the mountain summits contain cremated human remains, presumably from prominent people of this time.[2]
이 지역은 신석기시대에 처음 거주되며, 석기시대 농부들은, 이 산악지형의 정상들을 제외하고는 퍼져있는 Oak(오크나무)와 birch(박달나무) 숲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이후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대부분의 숲을 제거하고 고지대에 standing stones을 세웠다. Carneddau에는 천개이상의 고대 기념물이 있다. 순환 돌모양의 유물들은 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산 정상에는 화장된 사람 유해들이 있다. (상기 내용)
On the north western slopes of Drosgl there are clusters of Iron Age huts and three cairns were built on the top of Moel Faban.[3] This settlement endured for a thousand years, lasting until after the Romans arrived. There are other huts elsewhere and traces of field systems and numerous hill forts situated at strategic upland sites. The Romans subdued the area and built a road, Bwlch y Ddeufaen across the northern slopes of the Carneddau. After they left in 410, the land was controlled once again by Welsh princes who schemed and formed alliances among themselves.
Drosgl의 서북쪽 경사에는 철기시대 오두막이 있고 3개의 돌무덤이 Moel Faban꼭대기에 있다. 이 주거지역은 천년의 세월을 지나 로마인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존재했다. 다른 곳에도 오두막들이 있고 전략적 산악지역에는 언덕 요새(hill forts)가 여러 곳이 있다. 로마인들은 이 지역을 종속시켜 길을 만들었다. 그들이 410년 떠난 후에는 이 지역은 다시 서로 연합한 웨일즈 왕자들이 통제하였다. (상기 내용)
(source : Carneddau,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웨일즈)
상기 내용은 이 지역이 고대로부터 거주해 온 지역으로 켈트문명이 있지 않았나 한다. 그리고 로마인들이 언제 정복했는지 위에서 언급이 없지만, (웨일즈에 진출한 로마는 AD 45-78년 사이 집중적으로 켈트부족들을 복속시켰다.) 마한을 점령한 온조왕이 말갈과 싸운 지역이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필자는 산과 바다에 흩어져 사는 마한지역이 특히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등 영국지역을 포함하였다는 글을 썼다. (아래 글 참조). 따라서 마한의 서쪽 큰 섬에서 사냥하였다는 진사왕 시기의 기록은 England 섬에서 사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한 때, 마한의 서쪽 큰 섬이 이태리 서쪽 사르디니아 섬인 것으로 잘못 판단했다. 백제의 영토를 로마제국 전체의 규모로 상상하지 못했다). 실제 사냥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아래 중세의 타일(tile) 문양도 Ludlow castle에서 발견되었다. 이 성은 당시 잉글랜드 로마지역의 영토내에 있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볼 때, 진사왕 시기 언급된 횡악은 피레네 산맥으로 보인다.
Medieval tile, probably from Ludlow Castle, originally forming part of a hunting scene
(source : Wikipedia)
Ludlow castle위치 (Shropshire county, Wales동쪽 인접한 곳), England (source : wikipedia)
사서를 근거로 추정해 본 유럽의 마한 위치 추정
I. 머리말 필자는 오래 전부터 유럽에서의 한국사를 주장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그런 사관에 대한 검토를 계속하는 중이다. 워낙 기존의 사관과 다르고, 서양의 역사관과도 다른 추정이기에 계
lostcorea.tistory.com
또한 상기 Carneddau(Snowdonia지역)의 역사기록에서, 로마가 점령하여 있다가 410년 떠났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이 지역이 그동안 필자가 추정한 광개토태왕 시기의 정복지역이지 않나 판단한다.
3. 청목산의 청목나무는 웨일즈에 있었나?
이제 곤미천 즉 Conwy river의 좌측에 청목산이 있을 지형은 확인된 바, 보다 구체적으로 청목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청목산의 청목은 어떤 나무를 말하는 것일까? 청목(靑木)은 푸른 나무라는 뜻이다. 사계절을 통해 푸른 나무(상록수, evergreen)라는 짐작이 간다. 그러나 의외로 청목 나무에 대한 자료는 없었다. 단지 아래와 같이 한의학에서 쓰는 용어로 나온다. 층층나무는 먹거나 약용으로 쓰이는 자연식물이라 한다. 줄기나 잎을 창상 화상 등의 치료에 쓰인다 했다. 그러나 이는 한반도를 염두에 두고 해석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참조하는 자료로 보고자 한다.
청목 靑木
- noun 한의 층층나뭇과에 속한 식나무의 생약명. 나무줄기나 잎을 약용하며 화상, 창상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
(자료 : 네이버 사전)
그러면 이 웨일즈 지역에 청목나무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있을까? 사철 푸른 나무와 그용도를 가지고 알아 보고자 한다. 특히 이 지역과 유럽에는 Welsh Oak나무가 펴져 있고, 또한 북반구에 많은 Birch (자작나무, 박달나무)가 많다. 따라서 이 두 나무의 청목 가능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Oak 나무는 기본적으로 낙엽송이며 상록수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 지역, 웨일즈, Cornwall (웨일즈 남쪽), 아일랜드에 토종인 Welsh oak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1) Welsh Oak (=Cornish oak, Irish oak, Sessile oak)
Quercus petraea, commonly known as the sessile oak,[3] Welsh oak,[4] Cornish oak,[5] Irish oak or durmast oak,[6] is a species of oak tree native to most of Europe and into Anatolia and Iran. The sessile oak is the national tree of Ireland,[7] and an unofficial emblem in Wales[8] and Cornwall.[9][10]
Quercus petraeca는 보통 Sessile oak, Welsh oak, Cornish oak, Irish oak 또는 dumast oak로 알려진, 대부분의 유럽과 아나톨리아, 이란에서 토종인 오크나무의 종자이다. sessile oak는 아일랜드의 국가나무(國木)이며, 웨일즈와 Cornwall의 비공식적인 문양이다. (상기 내용)
The sessile oak is a large deciduous tree up to 40 metres (130 feet) tall,... It occurs in upland areas of altitudes over 300 m (984 ft) with higher rainfall and shallow, acidic, sandy soils. Its specific epithet petraea means "of rocky places".[12]
이 나무는 매년 낙엽이 떨어지는 나무이며, 키가 40미터에 달한다. ..고도 300미터이상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며, 비가 많이 오고, 산성의 지층이 낮은 모래흙에서 자란다. 종자의 별칭인 petraea는 바위가 많은 지역을 의미한다. (상기 내용)
(source : Welsh oak(Quercus petraea),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animals/plants)
이 나무는 웨일즈와 Conwall, 그리고 아일랜드의 상징이 되는 나무이다. 또한 비가 많이 오고, 300미터 이상의 고지대에 자라며, 종자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자란다. 아래에서 그 용도에 대해 알아 보자.
Uses (용도)
Sessile oa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pecies in Europe both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Oak timber is traditionally used for building, ships and furniture.
이 Sessile oak 나무는 유럽에서 경제적으로 기후적으로 가장 중요한 나무의 하나이다. Oak 목재는 전통적으로 빌딩이나 배, 가구를 만드는데 쓰인다. (상기 내용)
Today the best woods are used for quality cabinetmaking, veneers and barrel staves.[15] Rougher material is used for fence construction, roof beams and specialist building work. The wood also has antimicrobial properties.[16][17] It is also a good fuel wood. During autumns with good acorn crops (the mast years), animals are traditionally grazed under the trees to fatten them.[18]
오늘날 가장 좋은 나무들은 질좋은 캐비넷제조, 베니어판 그리고 통나무통 널판지 등에 쓰인다.이 나무는 또한 항균성이 있다. 좋은 땔감이기도 하다. 가을에 열매가 열리면, 동물들은 전통적으로 이 나무아래서 쌀찌게 방목된다. (상기 내용)
(source : Welsh oak(Quercus petraea),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animals/plants)
성숙된 Welsh Oak나무 (source : Wikipedia)
Welsh Oak 나무 분포도 (source : Wikipedia)
상기 나무의 용도는 목재로서 빌딩이나 배, 가구를 만드는 데 쓰이고, 항균성이 있으며, 가을에 열리는 열매가 동물들의 먹이가 된다고 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이 있는 일반적인 Oak 나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Oak나무는 주로 유럽의 여러 나라의 국가를 상징하는 나무가 되었다. (아래 참조)
"The oak is a widely used symbol of strength and endurance.[101] It is the national tree of many countries,[102] including the US,[103] Bulgaria, Croatia, Cyprus (golden oak), Estonia, France, Germany, Moldova, Jordan, Latvia, Lithuania, Poland, Romania, Serbia, and Wales.[102] Ireland's fifth-largest city, Derry, is named for the tree, from Irish: Doire, meaning 'oak'....
Oak나무는 강함과 인내의 상징으로 널리 쓰였다. 많은 나라의 국목(national tree)이다: 미국,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사이프러스, 에스토니아. 프랑스, 독일, 몰도바, 요르단,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웨일즈. 아일랜드의 5번째 큰 도시 Derry는 oak를 뜻하는 아일랜드어 Doire, 나무에서 이름이 지어진 것이다. (상기 내용)
The prehistoric Indo-European tribes worshipped the oak and connected it with a thunder god, and this tradition descended to many classical cultures. In Greek mythology, the oak is the tree sacred to Zeus, king of the gods. ............. In Norse and Baltic mythology, the oak was sacred to the thunder gods Thor and Perkūnas respectively.[112][113] In Celtic polytheism, the name druid, Celtic priest, is connected to Proto-Indo-European *deru, meaning oak or tree.[114] Veneration of the oak survives in Serbian Orthodox Church tradition. Christmas celebrations include the badnjak, a branch taken from a young and straight oak ceremonially felled early on Christmas Eve morning, similar to a yule log.[115]
선사시대의 인도유럽어족은 Oak나무를 숭배했으며, 번개의 신에 연결하였다. 이 전통은 만은 고대문화에 전해졌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oak나무가 신들의 왕인 제우스에 바쳐진 나무이다. ....Norse와 발틱국가의 신화에서는 oak나무는 번개의 신 Thor와 perkunas에 바쳐진 나무이다. 켈트 다신교에서는 Druid라는 이름의 켈트 사제는 oak 또는 나무를 의미하는 deru라는 범인도유럽어와 연결되어 있다. Oak나무의 숭배는 세르비아의 오르독스교회전통에 남아있다. 크리스마스 기념행사는 X-mas이브 아침에 어리고 바른 oak줄기를 불에 떨어뜨리는 badnjak (세르비아)(유럽의 Yule log와 유사한) 세레모니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
(source : Oak,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animals/plants)
Oak(오크)나무는 또한 선사시대부터 번개의 신 제우스에 바쳐진 나무로 숭배되었다. 북유럽(Norse)의 국가 신화에서는 번개의 신 Thor에 바쳐진 나무이다. 켈트 다신교의 사제이름 Druid는 oak나무를 의미하는 deru라는 인도유럽어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X-mas의 기념행사에 oak 나무 줄기를 태우는 세르비아의 Badnjak와도 연결되어 있다. 즉 Oak나무는 종교적으로도 신성시된 나무이다.
오크나무의 지구 분포도 Global distribution of Quercus (=Oak). The New and Old World parts are mostly separate clades.[a] Red: North American.[b] Pink: Central American.[c] Yellow: European.[d] Green: West/Central Asian.[e] Turquoise: Southeast Asian.[f] Blue: East Asian.[g][27] See Phylogeny chapter/tree for sections. (source : Wikipedia)
Oak나무 중 특히 Welsh Oak, Cornish Oak, Irish Oak라 불리는 Quercus petraea나무인 Sessile oak나무는 바위가 많은 300미터이상의 산악지대에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 자라는 나무이다. 필자는 앞에서 Conwy river의 서쪽에 이런 지형이 있다는 것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곳에 많이 자라는 oak나무라서 Welsh oak, Cornish oak(Cornwall지역), Irish oak라 불리지 않나 판단한다. 이들이 청목이 될 수 있다. 이들 oak는 낙엽송이며, 상록수이다.
(2) Birch (자작나무)
그런데 Oak 나무외에 이들 지역에는 Birch (자작나무, 박달나무)가 또한 많이 자란다. 이 나무도 상록수이다. 자작나무는 지구의 북반구에는 다 퍼져있는 나무이다. (아래 지도 참조)
Silver Birch tree (source : wikipedia)
Birch Tree (자작나무, 박달(단(檀)) 나무) 분포도 (source : Wikipedia)
그런데 이러한 Birch나무는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나무 껍질이 피부치료에 쓰이는 점이나 식용으로 이용되는 점이 청목의 용도와 유사하다. 목재로서 이용뿐만 아니라, 화장품용도, 방수처리, 보트나 카누의 제조에 쓰이고, 방수용가죽의 제조, 시럽이나 맥주의 제조, 종이의 제조, 악기의 제조 등에 쓰인다. (아래 자료 참조)
"A birch is a thin-leaved deciduous hardwood tree of the genus Betula (/ˈbɛtjʊlə/),[2] in the family Betulaceae, which also includes alders, hazels, and hornbeam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beech-oak family Fagaceae. The genus Betula contains 30 to 60 known taxa of which 11 are on the IUCN 2011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They are typically short-lived pioneer species and are widespread in the Northern Hemisphere, particularly in northern areas of temperate climates and in boreal climates.[3] Birch wood is used for a wide range of purposes.
박달나무는 얇은 잎의 낙엽송 활엽수이다. ...너도 밤나무 참나무과이다. ..북반구에 널리 퍼져 있고, 특히 북쪽 온대기후와 아한대기후지역에 퍼져있다. 박달나무 목재는 여러 용도로 쓰인다. (상기 내용)
......
Uses (용도) (번역 생략)
- Extracts of birch are used for flavoring and leather oil, and in cosmetics such as soap and shampoo. In the past, commercial oil of wintergreen (methyl salicylate) was made from the sweet birch (Betula lenta).[citation needed][13]
- Birch-tar or Russian oil extracted from birch bark is thermoplastic and waterproof; it was used as a glue on, for example, arrows, and also for medicinal purposes.[14]
- Fragrant twigs of wintergreen group birches are used in saunas.[citation needed]
- Birch is also associated with the feast of Pentecos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Siberia, where its branches are used as decoration for churches and homes on this day.[citation needed]
- Ground birch bark, fermented in sea water, is used for seasoning the woolen, hemp or linen sails and hemp rope of traditional Norwegian boats.[citation needed]
- Birch twigs bound in a bundle, also called birch, were used for birching, a form of corporal punishment.[citation needed]
- Many Native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and Indigenous peoples in Canada prize the birch for its bark, which because of its light weight, flexibility, and the ease with which it can be stripped from fallen trees, is often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strong, waterproof but lightweight canoes, bowls, and wigwams.[15]
- Birch oil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Russia leather, a water-resistant leather.
As food (식량)
The inner bark is considered edible as an emergency food, even when raw.[13] It can be dried and ground into flour, as was done by Native Americans and early settlers. It can also be cut into strips and cooked like noodles.[13]
박달나무의 속은 비상 식량으로 심지어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다. 말리고 갈아서 밀가루에 섞어, 초기 아메리카 인디언 정착민들은 먹었다. 또 한 잘라서 국수처럼 요리되었다. (상기 내용)
The sap can be drunk or used to make syrup[13] and birch beer. Tea can be made from the red inner bark of black birches.[13]
박달나무 수액은 마시거나 시럽이나 박달나무 맥주를 만드는데 이용되곤 했다. black birch나무의 빨간 속은 차(tea)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내용)
.........
Medical
Approved topical medicine (증명된 피부치료제)
In the European Union, a prescription gel containing birch bark extract (commercial name Episalvan, betulae cortex dry extract (5–10 : 1); extraction solvent: n-heptane 95% (w/w)) was approved in 2016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minor skin wounds in adults.[19] Although its mechanism of action in helping to heal injured skin is not fully understood, birch bark extract appears to stimulate the growth of keratinocytes which then fill the wound.[19][20]
유럽연합에서는 박달나무 껍질에서 축출된 젤이, 성인들의 작은 피부 상처의 치료제로 2016년 처방전으로 인정되었다. 상처난 피부치료의 의학적 성분ㅇ에 대해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박달나무 껍질 축출물은 상처를 막는 케라틴 성분의 증식을 축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내용)
Research and traditional medicine
Over centuries, birch bark wa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practices by North American indigenous people for treating superficial wounds by applying bark directly to the skin.[20] Splints made with birch bark were used as casts for broken limbs in the 16th century.[21]
여러 세기에 걸쳐, 박달나무껍질은 북아메리카 원주민에 의해 전통적인 약재로 이용되었다. 이들은 피부에 직접 박달나무 껍질을 이용함으로써 표피적인 상처를 치료하는데 썼다. 16세기에는 박달나무 껍질로 만든 접골 치료용 부목(splints)이 부러진 팔다리를 위한 주물로 이용되었다. (상기 내용)
Paper (종이)
See also: Birch bark document

A birch bark inscription excavated from Novgorod, c. 1240–1260
(러시아 노보고로드에서 발견된 박달나무 껍질에 새긴 글) (1240-1260)
Wood pulp made from birch gives relatively long and slender fibres for a hardwood. The thin walls cause the fibre to collapse upon drying, giving a paper with low bulk and low opacity. The birch fibres are, however, easily fibrillated and give about 75% of the tensile strength of softwood.[22] The low opacity makes it suitable for making glassine.
박달나무로부터 얻은 펄프는 활엽수로서는 상대적으로 길고 가느다란 섬유질이다. 가늘기 때문에 마르면 섬유질이 무너져 낮은 부피와 낮은 불투명도를 가지는 종이를 준다. ....낮은 불투명도는 유리잔을 만드는데 적당하게 한다.
In India, the birch (Sanskrit: भुर्ज, bhurja) hold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culture of North India, where the thin bark coming off in winter was extensively used as writing paper. Birch paper (Sanskrit: भुर्ज पत्र, bhurja patra) is exceptionally durable and was the material used for many ancient Indian texts.[23][24] The Roman period Vindolanda tablets also use birch as a material on which to write and birch bark was used widely in ancient Russia as notepaper (beresta) and for decorative purposes and even making footwear (lapti) and baskets.
인도에서는 북인도 문화에서 매우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겨울철의 가느다란 박달나무 껍질은 필기 종이로 많이 쓰였다. 박달나무 종이는 유난히 단단해서 많은 고대 인도 문서에 쓰인 재료이다. 로마시기 Vindolanda 타블렛도 박달나무위에 쓰여 졌고 박달나무 껍질은 고대 러시아에서 메모용으로 널리 쓰였으며, 장식용으로 그리고 신발과 바구니를 만드는데 쓰였다. (상기 내용)
Use in musical instruments (악기 용도)
Birch wood is sometimes used as a tonewood for semiacoustic and acoustic guitar bodies, and occasionally for solid-body guitar bodies. It is also a common material used in mallets for keyboard percussion.[citation needed] Drum manufacturers, such as Gretsch and Yamaha, have been known to use birch wood in the construction of drum shells, owing to its strength and colour which takes stain in an appealing way, and which can also amber over very well, while also giving the drums an appealing tone which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birch used.[25]
박달나무는 소리를 내는 기타(guitar) 몸체로 쓰였다. 드럼을 만드는데도 쓰였다.
(source : Birch,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animals/plants)
그래서 문화적으로도 Birch나무는 종교적 중요성을 가진다. 켈트문화에서는 이 나무가 악조건에서 잘 자라므로, 성장, 갱신, 안정, 적응 등의 의미를 가진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잉글랜드의 포크송과 발라드에서는 죽음, 무덤으로부터의 환생 등과 연관되어 있다. 알바니아에서는 silver birch tree 나뭇잎이 성 조지 축제에 이용된다. (아래 자료 참조)
그러므로 웨일즈지역의 청목은 Birch tree를 말할 수도 있다고 본다.
"Culture
Birches have spiritual importance in several religions, both modern and historical. In Celtic cultures, the birch symbolises growth, renewal, stability, initiation, and adaptability because it is highly adaptive and able to sustain harsh conditions with casual indifference. Proof of this adaptability is seen in its easy and eager ability to repopulate areas damaged by forest fires or clearings. Birches are also associated with Tír na nÓg, the land of the dead and the Sidhe, in Gaelic folklore, and as such frequently appear in Scottish, Irish, and English folksongs and ballads in association with death, or fairies, or returning from the grave. The leaves of the silver birch tree are used in the festival of St George, held in Novosej and other villages in Albania.[26]
또한 Birch는 북반구 나라 나무이며, 핀란드와 러시아의 나라 상징 나무이다. Yellow birch는 카나다 퀘벡지역의 공식적인 지역 나무이다. 러시아에서는 birch나무가 은혜, 강함, 부드러움을 나타내고, 러시아 여인의 자연적인 아름다움, 러시안 기질과의 근접성을 나타낸다. Birch이 자라는 지역의 포크송에서는 Birch가 여러번 언급된다. Omas birch는 스웨덴의 국가상징 나무이다. 체코말로 3월이란 단어 Brezen은 Birch 꽃이 지역에서 3월에 피므로 Birch의미의 말, briza에서 비롯되었다. silver birch tree는 스웨덴 도시 Umea에게 특별히 중요하다. (아래 내용 참조)
The birch is New Hampshire's state tree and the national tree of Finland and Russia. The yellow birch is the official tree of the province of Quebec (Canada). The birch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Russian culture and represents the grace, strength, tenderness and natural beauty of Russian women as well as the closeness to nature of the Russians.[27] It's associated with marriage and love.[28] There are numerous folkloric Russian songs in which the birch tree occurs.
The Ornäs birch is the national tree of Sweden. The Czech word for the month of March, Březen, is derived from the Czech word bříza meaning birch, as birch trees flower in March under local conditions. The silver birch tree is of special importance to the Swedish city of Umeå........
(source : Birch,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animals/plants)
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Birch 나무와 Welsh oak나무가 청목으로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청목과 관련된 지명 청목산이 곤미천(Conwy river)의 좌측에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4. 봉현지역의 가능성
아래 온조왕의 말갈전투 자료에서 곤미천, 청목산 뿐만 아니라, 봉현이란 지명이 나온다.
봉현(烽峴)은 의미를 나타낸 지명으로 보이는데, 봉화봉자에 고개현자의 뜻이다. 고개현자는 작고 험한 산이라는 의미도 있다 한다. 우리는 위에서 살펴본 conwy river의 좌측지형이 작고 험한 산들의 지형이라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봉현이란 지명도 웨일즈지역에 있지 않나 한다.
"말갈이 북쪽 국경을 침입하다 ( 기원전 9년 10월 )
〔10년(B.C. 9)〕 겨울 10월에 말갈이 북쪽 경계를 노략질하였다. 왕이 군사 200명을 보내 곤미천(昆彌川) 가에서 막아 싸우게 하였다. 우리 군사가 거듭 패배하여 청목산(靑木山)에 의지해서 스스로를 지켰다. 왕이 친히 정예 기병 100명을 이끌고 봉현(烽峴)으로 나가서 구원하니 적들이 보고서 곧 물러갔다."
(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백제 온조왕, 인용출처 : 본 블로그, 카테고리, 백제)
(자료 : 네이버 사전)
III. 결 론
이상으로 곤미천과 청목산이 웨일즈 지역에 있었다는 검토를 마치고자 한다. 이 지역이 언급된 시기는 백제 온조왕의 시기이다. 즉 백제 초기부터 이 지역에 대한 정복에 나선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온조왕이 맞서 싸운 말갈이 고구려인지는 알 수 없다. 단 서양사에서는 이 웨일즈 지역에 켈트족들이 살았는데, 이들을 로마가 하나 하나씩 점령해 나갔다고 한다. 이 웨일즈 지역의 많은 고대 Hill Fort에는 켈트족들이 살았는데, 이를 로마가 점령하고 로마식 성곽으로 대체한 역사를 보여 준다. 이들 켈트족들은 마한의 사람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는 이 마한의 영역이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영국 등을 포함하였다고 하는 글을 썼다. 마한인들은 산과 바다에 흩어져 산다고 했는데, 산악지역인 Highlands에 그리고 섬들인 British isles에 주로 사는 이 지역의 켈트인들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로마가 잉글랜드 지역만을 점령하고 아일랜드나 스코틀랜드를 정복하지 못한 역사를 서양사는 말한다. 이들이 일부 마한인으로서 백제의 온조왕에 대항하는 세력이었는지도 모른다. 나아가 이들이 고구려 광개토태왕의 세력으로 서로마제국인 한성백제를 무너뜨린 세력일 수도 있다고 본다. 이에 대해서는 4-5세기 역사에서 언급되는 청목령, 청목진의 연구는 추가 글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한국사 > 백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류가 세운 미추홀의 비류국은 어디인가? (0) | 2023.10.20 |
---|---|
백제의 한성, 한수는 요서에 있는가? (0) | 2023.01.24 |
백제가 활동한 한수(漢水)지역은 프랑스의 르와르강 유역에 있었다 (0) | 2023.01.03 |
371년 삼국사기 백제의 평양성 공격과 고구리사 초략의 한성 공격 (revised) (0) | 2021.10.19 |
로마사 자료를 통한 위례성과 한산 추정 : S (IV) (0) | 2021.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