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Massagetae, Dahae는 낙랑조선인가? (II)

2021. 8. 17. 09:36한국사/기타

부제 : 중앙아시아의 Dahae는 누구인가? 

 

필자는 그동안 Massagetae, 그리고 같은 스키타인이면서도 다른 키메리언에 대해 살펴 보며, 낙랑조선, 진국의 가능성을 보았다. 이제 아케메네스제국에 이르는 보다 후대에 해당하는 Dahae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한다. Livius 자료와 Wikipedia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 Dahae는 누구인가?

 

Parthian Empire의 원천이라는 Dahae는 3개부족의 연합체로 출발했다 한다. 그 위치도 카스피해 동쪽에 위치하여, 스키타인 Massagetae와 가까이 있었다. 

 

 

Archaemenid Empire (500 BC) with detail of regions such as Dahae, Hyrcania, Parthia etc.(source : Wikipedia)

 

 

1) Confederation of Dahae

 

Parni, Xanthii, Pissuri의 3개 부족으로 이루어진 Dahae연합은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을 이루는 지역에 살고 있었으며, Dahestan, Dahistan 즉 Dahae가 사는 땅이 된 것이다. Dahae는 기원후가 시작되기 전에 갈라 졌는데, 3개 부족중의 하나인 Parni가 Parthia (현재 이란 동북쪽)로 이주해와서 Arsacid Dynasty를 이루었다. (아래 자료 참조) 

 

 

"A confederation of three tribes – the ParniXanthii and Pissuri – the Dahae lived in an area now comprising much of modern Turkmenistan. The area has consequently been known as Dahestan, Dahistan and Dihistan. ...

 

 

The Dahae dissolved, apparently, some time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st millennium. One of the three tribes of the Dahae confederation, the Parni, emigrated to Parthia (present-day north-eastern Iran), where they founded the Arsacid dynasty......"

 

(source : Dahae,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2) Dahae, Hycania와  Wolf와의 관련

 

몇몇 학자들은 Dahae와 동유럽의 Dacians이 어원상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양자 모두 Daoi라는 변형된 이름을 공유하는 인도유럽인 유목민이다. 종교역사가인 David Gordon White는 이들의 이름은 범인도유럽인의 뿌리 : strangle ('목을 죄는' 뜻) 의미 그리고/또는 Wolf(늑대)의 완곡한 표현인 dhau란 뿌리를 가지고 있다 주장한다. (마찬가지로 Dahae의 북쪽 이웃인 Massagetae는 Dacians과 연관된 Gatae와 관계가 있다.)

 

Dahae의 남쪽에 접한 나라는 Verkkana - 그리식 이름 Hyrcania로 자주 알려진 - 는 Dahistan과 어떤 때는 합체가 되었었다. 

 

Dahae와 Dacia와 같이, Verkana는 늑대에 대한 인도 유럽어이며, 범이란어 'Vrka'에 그 어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adrakarta (후의 Zadrakarta)는 Verkan의 수도로서 어원상 같은 어원을 가지는데, 이란의 두개의 현대 도시 Sari 또는 Gorgan과 유사어일 수 있다. 현대 이름 Gorgan 또한 범이란어 vrka (늑대에 해당)에서 유래된 것으로 신페르시아어 Gorgan (ie v>g)과 어원이 같다. (아래 자료 참조)

 

 

"Some scholars also maintain that there were etymological links between the Dahae and Dacians (Dacii), a people of ancient Eastern Europe.[6] Both were nomadic Indo-European peoples who shared variant names such as Daoi. David Gordon White, an Indologist and historian of religion, has reiterated a point made by previous scholars – that the names of both peoples resemble the Proto-Indo-European root: *dhau meaning "strangle" and/or a euphemism for "wolf". (Similarly, the Massagetae, the northern neighbors of the Dahae, have been linked to the Getae, a people related to the Dacians.) 

 

The country neighbouring the Dahae to the south, Verkāna – often known by its Greek name, Hyrcania (Ὑρκανία) – has sometimes been conflated with Dahistan. 

 

Like Dahae and Dacia, Verkâna appears to have a root in an Indo-European word for "wolf", the Proto-Iranian*vrka.[7] The name of Sadrakarta (later Zadracarta), the capital of Verkâna, apparently has the same etymological roots, and may be synonymous with one of two modern cities in Iran: Sari or Gorgan. (The modern name Gorgan is also derived ultimately from the Proto-Iranian *vrka for "wolf" and is cognate with the New Persian gorgān (i.e. v > g).[8]

 

(source : Dahae,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역시 늑대와 관련이 있는 Hyrcania애 대해서도 위키 자료를 살펴 보자

 

Hyrcania는 지역에 대한 그리스 명칭인데, 고대 페르시아의 설형문자 비문에서 뿐만 아니라, 다리우스 대왕의 Behistum 비문 (BC 522)에 기록된 고대 페르시아어 Verkana에서 빌려온 것이다.  Verka는 고대 이란어로 '늑대'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Hyrcania는 늑대의 땅(Wolf-land)를 의미한다. 이 이름은 카스피해로 확장되어 Sari 도시 (Zadracrata) (북 이란의 최초이며 당시 가장 큰 도시) 이름에 내포되어 있다. 

 

다른 고대의 명칭 Dahistan (현대의 이란어 단어district, county를 의미하는 dehistan과 혼동하지 말 것)은 때때로 Hyrcania와 번갈아 사용되었다. Dahistan은 정확히 말하면 'Dahae의 장소'를 말한다. Dahae는 기원전 5세기부터 Hyrcania 바로 북쪽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Dahae는 지역적 근접성 외에 어원적으로 Hyrcania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종교적 사가 David Gordon White는 Dahae는 범 인도유럽어 'dhau, "strangle (목을 죄는)"와 닮았는데 이는 확실히 늑대에 대한 완곡한 표현이다. (아래 자료 참조)

 

"Hyrcania (Ὑρκανία) is the Greek name for the region, a borrowing from the Old Persian Verkâna as recorded in Darius the Great's Behistun Inscription (522 BCE), as well as in other Old Persian cuneiform inscriptions. Verkā means "wolf" in Old Iranian, cf. Avestan vəhrkōGilaki and Mazandarani VerkModern Persian gorg, and Sanskrit Vŗka (वृक). See also Warg. Consequently, Hyrcania means "Wolf-land". The name was extended to the Caspian Sea and underlie the name of the city Sari (Zadracarta), the first and then-largest city in northern Iran (Mazandaran, Golestan and Gilan) and the capital of ancient Hyrcania.

 

Another archaic name, Dahistān (not to be confused with dehestan – a modern Iranian word for "district" or "county") is sometimes used interchangeably with Hyrcania. Dahistān refers, strictly speaking to the "place of the Dahae": an extinct people who lived immediately north of Hyrcania, as early as the 5th Century BCE.[4] Apart from the geographical proximity of the Dahae, their ethnonym may have etymological similarities to "Hyrcanians"; for examplereligious historian David Gordon White, reiterating a point made by previous scholars, suggests that Dahae resembles the Proto-Indo-European *dhau "strangle", which was apparently also a euphemism for "wolf".[5]"

 

(source : Hyrcania,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필자가 늑대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아래 유트브의 자료를 본 후이다. 체로키언들이 부르는 노래에 낙랑조선이란 언급이 들린다. 그런데 그들의 화면에는 늑대 또는 가축화된 늑대, 개의 모습이 보인다. 막연하게 알았던 낙랑조선에 대해서, 자료를 찾아보니, 기자조선 시기에 낙랑조선이란 이름이 중국 사서에 나온다.  즉 낙랑 조선이 실재했다는 것이다. 그러면 그 위치는 어디일까 고민 하던 중, 발칸반도의 다키언이 늑대와 관련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Dacians과 연관되어 있다는 Massagatae와 Cimmerians, Dahae를 연구하면서 이들 지역의  활동이 기자조선 시기인 BC 11c이후인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메디아 제국을 이룬 키메리언은 서진을 계속해 프리기아, 리디아 등을 거쳐 발칸반도에 이르러 Thraco-Cimmerians가설을 낳게 한다. 그리고 북유럽에 이르러 Cimbri가 되는데, 키메리언은 배사법의 활을 쏘는 스키타인의 일원이다. 그리고 이들 키메리언도 전쟁시 개들을 데리고 다니는 사진을 보게 된다. 로마의 원천이라는 이태리 북부 Estrucan 문명도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랐다는 로물루스형제의 이야기처럼  늑대와 관련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도 전쟁에서 늑대(개)를 몰고 다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https://youtu.be/8_qFbNskjCI

 

 

또한 Parthian Empire의 원천이 된 Dahae도 Hyrcania와 늑대와 연관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아케메네스제국의 Cyrus대왕은 메디아 왕가의 후손이다. 그리고 Cyrus대왕도 늑대 관련 일화가 존재한다. 페르시아에서는 개를 신성시한다고 한다. 즉 아케메네스제국도 반란을 통해 이룩했지만 메디아제국을 이룬 키메리언의 연속이며, 늑대 관련하여 동질성을 보인다. 13년 단기간의 알렉산더제국은 이미 아케메네스제국이 이룬 영역을 이어 받은 것 뿐이다. 그 뒤를 이은 파르티마제국은 그 원천인 Dahae와 Hyrcania에서 보듯이 역시 늑대와 관련성을 보여 준다.  

 

즉 중앙아시아에서 발칸반도를 거쳐 북유럽까지 키메리언의 발이 닿는 곳이 낙랑조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메디아제국은 BC 8세기에 시작했다. Massagetae와 Cimmerians은  BC 10c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낙랑조선인 기자조선이 시작하는 시기인 것이다. 낙랑(기자)조선의 전 시기에는 상나라가 존재했다. 상나라는 동방으로 중국까지 또 서방으로 브리튼까지 진출했다고 여겨진다. 미케네문명이 그를 말해 준다. (본 블로그 글, '상나라의 동방행은 어디까지인가? ' 참조). 상나라 시절에 아메리카까지 진출한 흔적을 고려하면, 체로키 인디언이 낙랑조선을 언급하는 노래는 그래서 예사롭지가 않은 것이다. 이제 얼추 그 윤곽이 대충 그려지는 것 같다. 그러나 앞으로도 관심을 가지고 아케메네스제국, 파르티마제국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필자는 파르티마제국의 후반기부터 사산왕조 페르시아까지 신라의 역사로 판단한다. (본 블로그 글, '상대 파르티마제국은 신라이다 (I), (II), (III)', '사산왕조 페르시아는 신라이다' 참조). 중앙아시아의 흉노, 훈족의 피를 이은 신라일지도 모른다. 지난 글 (I)에서 앗시리아, 바빌로니아, 키메리언의 메디아 모두 훈족이라 한 자료를 보았다. 비잔틴제국에서는 훈족, 투르크족, 타타르족을 일컫는 옛날 표현이 Massagetae라 했다 한다. 키메리언은 또한 Gomerian이라 하는데, 이들은 Magog과 연관되어 있다 한다. 고트족은 Magog의 후손이라고 Jordanes는 언급했다. 즉 북부유럽의 Magog 연관성은 우리의 마고할미 신화와 연관된다. 

 

필자는 해모수란 지명이 북유럽에 있다는 것을 말했다. (본 블로그 글, '해모수란 지명이 왜 북유럽에 있었나?' 참조). 그리고 그 성곽 흔적도 고조선의 성곽모습이다. 고대사에 나오는 실위란 지명도 북유럽 Schleswig로 추정했다. (본 블로그 글, '실위는 북유럽의 Schleswig지역이다' 참조). 지형상으로도 들어 맞는다. 그리고 덴마크란 국명도 북부여의 고향으로 돌아간 두막루와 연관이 있다고 추정했다. (본 블로그 글, '북부여계인 두막루는 북유럽에 있었다' 참조).실제 'Dan'이란 이름을 가진 세명의 왕이 기록되어 있다. 즉 이지역도 단군조선의 지역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 지역은 또한 키메리언으로 판단되는 Cimbri가 진출한 Jutland와 이웃이다. 따라서 중앙아시아에서 북유럽, 서유럽까지 넓게 퍼져 있는 이들의 흔적이 낙랑조선, 단군조선이 아닌가 한다. 필자는 마한이 이태리반도, 발칸반도를 포함하고 있었다고 추정했다. (본 블로그 글, '마한은 이태리 반도를 포함했었다' 참조). 진한의 신라는 소아시아에서 동쪽으로 가는 지역으로 과거 진국의 영역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모든 필자의 낙랑조선에 관한 추정이 필자의 그전 추정과 들어 맞는다는 느낌이다. 그런데 아래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되어 기쁘다. 

 

 

3) Dahae as Saka and Scythians 

 

Cyrus 대제 (BC 599-530 BC)에 대한 Berossus의 전기에서는 그가 시르다리야강(Jaxartes, 현대의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근처의 Dahae에 의해 죽었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앞에서 Massagetae의 Tomyris여왕이 Cyrus대왕을 죽였다고 언급했다. 여기서 Dahae와 Massagetae가 연결된다). 알렉산더 대왕이나 Strabo 같은 그후의 자료는 Dahae의 일부는 Jaxartes강 가까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란 백과사전은 Dahae가 박트리아의 동북쪽, 소그디아의 동쪽에 살았다고 말하여진다고 언급한다. 적어도 일부 Dahae는 고대 Margiana의 가까이, 카라코럼 사작의 동쪽 가장자리에 있었음에 틀림없다.

 

후의 역사적 자료는 Dahae는 모두 카스피해의 동남쪽 해변에 위치시킨다.  

 

Dahae에 대한 최초의 믿을 만한 언급은 페르시아 Xeres 대제 (재위 BC 486-465 BC)에 의한 Daeva Inscritions으로 간주된다. 아케메네스제국의 부족과 영역에 대한 고대 페르시아 리스트에는 Daeva가 Saka에 이웃한 Daha로 확인된다. 

 

Dahae가 또한 Daha 또는 Dayha(Dahi 여성형)로, 기원전 5세기의 Avestani Yasht(13.144)에서 언급되는지는 불확실하다. 

 

Dahae와 Saka족은, 아케메네스제국군이 알렉산더대왕에게 패배하는 Gaugamela전투 (BC 331)에서 서로 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다음해, 아케메네스왕국이 붕괴한 후, 알렉산더는, mounted archers로 유명한 Dahae를 인도침입을 위해 모집했다. 

 

 Seleucid기간(BC 312-63 BC)의 몇몇 Saka동전은 때로는 Dahae 것으로 간주된다. 기원전 3세기에, Parni Dahae는 Ashk (250-211 BC) 이름의 우두머리에 의해 유명해진다. Parni는 방금 Seleucid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Parthia를 침범해서 지배군주를 폐위하고 Ashk는 칭제하였다. (Arsacid I). 그의 후계자들은 자주 Arsacids로 언급된다. 그들은 결국 전 이란고원을 군사적으로 지배하였다.  

 

기원전 1세기, 스트라보는 Geographica 11.8.1에서 Dahae는 현대의 투르크메니스탄 가까이 위치한 스키타이민족으로 언급한다. 그러나 스키타이와 사카는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간주하나, 스트라보의 경우는 항상 그렇지는 않았다. (아래 자료 참조)

 

"Berossus's biography of Cyrus the Great (c. 589–530 BCE) claims that he was killed by the Dahae near the Syr Darya (Jaxartes) river (modern Uzbekistan/Kazakhstan).[9] Later sources, such as Alexander the Great and Strabo also claimed that some of the Dahae were located near the Jaxartes. The Encyclopedia Iranica considers that the Dahae "were said to have lived in ... wastes northeast of Bactria and east of Sogdiana. At least some of the Dahae must thus be placed along the eastern fringes of the Karakum desert, near ancient Margiana..."....

 

Later historical accounts place the Dahae entirely on the south-eastern shores of the Caspian Sea. 

 

The first reliable mention of the Dahae is considered to be the Daeva inscription by Xerxes the Great of Persia (reigned 486–465 BCE). In a list in Old Persian of the peoples and provinces of the Achaemenid Empire, the Daeva identifies the Dāha as neighboring the Saka

 

 

It is unclear whether the Dahae are also the *Dāha or *Dåŋha (only attested in the feminine Dahi) mentioned by the Avestani Yasht (13.144), which may date from the 5th century BCE....

 

Dahae and Saka tribes are known to have fought at the Battle of Gaugamela (331 BCE), in which the armies of the Achaemenid Empire were defeated by Alexander the GreatAfter the Achaemenid dynasty collapsed the following year, Alexander recruited Dahae – famed as mounted archers – for the Greek invasion of India

 

Some "Saka" coins from the Seleucid era (312–63 BCE) are sometimes attributed to the DahaeBy the 3rd century BCE, the Parni Dahae had risen to prominence under a chief named Ashk (c. 250 – c. 211 BCE; Persian: ارشک ArshakGreek Ἀρσάκης; Latin Arsaces). The Parni invaded Parthia, which had just previously declared independence from the Seleucids, deposed the reigning monarch, and Ashk crowned himself king (Arsaces I in classical sources). His successors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Arsacids; they would eventually assert military control over the entire Iranian plateau....

 

 

In the 1st century BCE, Strabo (Geographika 11.8.1) also refers to the Dahae as a "Scythian" people, who we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present-day TurkmenistanHowever, while the terms Scythians and Saka are usually regarded as synonymous, that is not always the case with Strabo.

 

(source : Dahae,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Confederation of Dahae (source : Wikipedia)

 

중앙아시아 스텝지역은 수세기동안 유목민족들의 고향이었다. 이러한 유목민들은 평원을 건너 우연히 아케메네스제국을 공격했다. 페르시언들은 이들 유목민을 Saka라 부르고, 그리스인들은 스키타인이라 알고 있었다. 

 

Daha라 알려진 부족이 하나 있었는데, Daha라는 말은 페르시아어로 강도라는 말이다. 이러한 이름은 우리에게 놀라운 것은 아니다. 유목부족들은 그들이 약탈한 도시사람들로부터 이러한 이름을 갖는 일은 흔하다. 예를 들어, 20세기 유럽인들은 마자르족을 그들이 알았던 가장 위대한 야만인, 훈족에 비교했다. 마자르족이 마침내 정착했을 때, 그들은 이러한 이름을 계속 사용했고, 그 나라는 아직도 항가리로 불리운다. 아마도 'Daha'는 이와 같은 자부심을 주는 별명이었을 것이다. (아래 자료 참조)

 

"The Central-Asian steppe has been the home of nomad tribes for centuries. These nomads roamed across the plains and incidentally attacked the Achaemenid EmpireThe Persians called these nomads the Sakâ, the Greeks knew them as the Scythians.

 

One of the tribes was known as the Dahâ, which is the Persian word for "robbers". This name need not surprise us; nomad tribes often received names like this from the people in the towns who suffered from their raids. For example, in the tenth century CE, the Europeans compared the Magyars to the greatest barbarians they had ever known, the Huns; when the Magyars finally settled, they kept using this name and their country is still called Hungary. Probably, "Dahâ" was a similar proud nickname...."

 

(source : Dahae, Livius,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4) Dahae as nomads

 

유목민으로서 Dahe는 한 지역에만 살지는 않았다. 4세기에 그들은 시르다리야(고대의 Jaxartes)강의 하류지역에 살았다. Xerxes시대에도 이곳이 그들의 주거지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Xerxes는 Dahae, Saka haumavarga, Saka tigrakhauda 모두를 하나로 언급하고, 이 다른 부족들은 틀림없이 이웃에 살았다고 언급한다. 마케도니아왕 알렉산더 시기에는 그들은 Hyrcania 이웃에 살았었다. (아래 Livius 자료 참조) 

 

"Being nomads, the Dahae were not living on one place. In the fourth century CE, they lived on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Syrdar'ya, the ancient Jaxartes. It is very probable that this was their homestead in Xerxes' days too, because he mentions the Dahae, the Sakâ haumavargâ and the Sakâ tigrakhaudâ in one breath, and these two tribes certainly lived in this neighborhood. In the age of the Macedonian king Alexander the Great, they lived in the neigborhood of Hyrcania."

 

(source : Dahae, Livius,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5) Dahae as mounted archers

 

Dahae는 그들의 mounted archers로 유명했다. 알렉산더대왕이 아케메네스제국을 복속시키려 할 때, Dahae는 Gaugamela전투(10/01/331 BC)에서 페르시아왕 Darius II를 충성스럽게 지원했다. Darius왕이 Bessus(침략자에 대항해 투쟁을 계속 하고자 했던 귀족)에 의해 살해 되었을 때, Dahae는 Bessus편에 섰고, 나중에는 이란인 전사 Spitamenes와 함께 했다. 결국에는 그들은 알렉산더 우군으로 변화했고, 판잡지역 정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래 Livius 자료 참조) 

 

"The Dahae were famous for their mounted archers. When Alexander the Great tried to subject the Achaemenid empire, the Dahae loyally supported the Persian king Darius III during the battle of Gaugamela (1 October 331). When this king was killed by Bessus (a nobleman who wanted to continue the struggle against the invaders), the Dahae sided with him, and - later - with the Iranian warlord Spitamenes. Later, they switched allegiance to Alexander, and they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his conquest of the Punjab."

 

(source : Dahae, Livius,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A mounted archer in London, British museum (source : Dahae, Livius)

 

Dahae는 스키타인, 사카이고, Mounted Archers로 유명하며, 유목민으로서 전투에 능했다. 즉 키메리언, 스키타인 Massagetae 등과 동질성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중앙아시아에서 메디아제국을 이룬 키메리언의 뒤를 이은 스키타이족이라는 의미에서 아케메네스제국까지 이 지역에서의 낙랑조선 역사의 계속성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6) Dahae in the history of Persia 

 

Dahae는 페르시아왕 Xerxes (BC 486-465 BC)의 Daiva 비문에서 처음으로 언급된다. 그는 그들이 자신의 명령을 잘 듣는 속국의 하나로 언급한다. 그들이 Darius I 대제의 비문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Xerxes가 Dahae를 복속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스 사가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 유목부족을 Dai라 부른다 :

 

   페르시아국가는 많은 부족들을 포함하며, Cyrus가 모집하고 반란을 일으키도록 설득한 부족들은       Pasargadae, Maraphii, 그리고 Maspii인데, 그외 다른 부족들은 이들에게 의존한다. 다른 부족    들은 Panthialae, Derusiaei, Germanii 등인데, 이들은 농경부족들이며, 그밖의 Dai, Mardi,     Dropici, Sagarti 부족들은 유목부족이다. 

 

만약 이 짧은 카탈로그가 Cyrus 대제 당시 (BC 559-530 Bc)의 정확한 리스트라면, 우리는 Dahae는 BC 550년 메디아왕 Astyages에 반란을 일으킨 세력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래 Livius 자료 참조) (이 자료는 Dahae가 후에 Cyrus대왕을 죽인 부족이라는 앞의 자료와 반대되는 행동이다.)

 

"The Dahae are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the Daiva inscription of the Persian king Xerxes (486-465); he mentions them as one of the satrapies that listened to his orders. Since they are not mentioned in any inscription by king Darius I the Great, we may assume that Xerxes subdued the Dahae.

 

The Greek researcher Herodotus calls the Dai a Persian nomad tribe:

 

The Persian nation contains a number of tribes, and the ones which Cyrus assembled and persuaded to revolt were the Pasargadae, Maraphii, and Maspii, upon which all the other tribes are dependent. [...] Other tribes are the Panthialaei, Derusiaei, Germanii, all of which are attached to the soil, the remainder - the Dai, Mardi, Dropici, Sagarti, being nomadic.note

 

If this short catalogue goes back to an authentic list from the days of Cyrus the Great (559-530), we may assume that the Dahae took part in the rebellion against the Median leader Astyages in 550."

 

(source : Dahae, Livius,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Dahae와 여러모로 공통점을 지닌 Hyrcania는 페르시아 역사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아 보자. ​

 

Hyrcania는 BC 600년에 메디언 제국의 일부를 형성했다. Nicolaus Damascemus에 의하면 마지막 메디아 왕 Adtyages 시기에 총독으로서 관리되었다. Astyages는 Artasyras를 지방 총독으로 임명했다. 

 

메디아제국이 붕괴함에 따라, 이 지역은 아케메네스제국에 기꺼이 복속했고, Cyrus 대제에 의해 BC 549-548 BC에 점령되었다. 그리고 Artasyras는, Astyages 자신에 의해 교체되기 전에, 당분간 Cyrus 밑에서 계속 총독을 하였다. 

 

Ctesias에 의하면, Astyages의 손자 Megabernes가 또한 Hyrcania의 총독으로서 재임했다. Hyrcanians은, Cyrus 대제시 소아시아에 군사요충지를 확립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리디아 Hermus Valley 가운데로 이주하여 Hyrcanian Plain이란 지명을 남겼다. 

 

아케메네스 제국하에서 Hyrcania는 Parthia총독의 하위지방으로 (또는 Parthia와 Hyrcania 총독으로) 존재했다. 때로는 Cadusia가 Hyrcania의 일부로서 관리되었을 수도 있다. 유목민의 침입에 대비해 Hyrcania를 보호하는 요새가 아케메네스제국에서 건설되었다. (아래 자료 참조)

 

"Hyrcania formed part of the Median Empire by 600 BC, and according to Nicolaus Damascenus, was administered as a satrapy by the time of the last Median king, Astyages, who appointed a certain Artasyras as satrap (governor).[6] Upon the fall of the Median Empire, the region willingly submitted to the Achaemenid Empire and was occupied by Cyrus the Great in 549-548 BC,[7] and for a time Artasyras continued as satrap under Cyrus,[8] prior to his replacement by Astyages himself.[6] According to Ctesias, Astyages' grandson Megabernes also served as satrap of Hyrcania.[6] 

 

Hyrcanians gave their name to the Hyrcanian Plain in the middle Hermus valley in Lydia where they were settled, most likely during the reign of Cyrus the Great, as part of a policy to establish military colonies in Asia Minor.[9] 

 

Under the Achaemenid Empire, Hyrcania served as a sub-province of the satrapy of Parthia, which was also known as the satrapy of Parthia and Hyrcania.[6] At times, Cadusia may have been administered as part of Hyrcania.[10] Fortifications to protect Hyrcania against nomadic incursion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Achaemenid period.[11]"

 

(source : Hyrcania,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7) Dahae after the fall of the Achaemenid empire

 

아케메네스 제국의 붕괴이후 Dahae부족은 뿔뿔히 흩어진다. 과거의 하부부족형태는 Xanthians와 Pissyri 등 독립된 부족들로 바뀐다. 또 다른 부족은 Parmi부족인데, 이들은 BC 3세기경 남쪽으로 내려가서 Parthian Empire를 세웠다. 155년 그들은 소위 'Mother Tribe' (주요 부족)이 되었다. (아래 Livius 자료 참조)

 

 

"The tribe of the Dahae disintegrated after the fall of the Achaemenid empire. Older sub-tribal formations became independent tribes, such as the Xanthians and Pissyri. Another tribe was that of the Parni, who went south in the third century BCE and founded the Parthian empire. In 155, they subjected what was left of the "mother tribe"."

 

(source : Dahae, Livius,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Dahae/Hyrcania, 펌글 참조)

 

위의 페르시아 부족에 대한 Herodotus 명단에 Germanii란 부족 이름이 등장한다. 유럽으로 이동한 Garman을 말하는지 궁금하다. 모든 German은 인도 유럽인이다. 따라서 동쪽에서 이동해온 부족들인데, 출발지가 여기인지 모른다. 앞으로 관심있게 볼 것이다. 

 

아래 성곽 그림은 벨기에 있는 Tungri가 사는 Tongeren지역에 있는 성곽이다. 로마의 wall이라 하는데, 로마는 광개토태왕이 침입하기 전에는 이러한 성곽이 없다. 즉 치가 있는 성곽이다. 고조선의 성곽 모습이며, 고구려가 이를 전승했다. Tungri란 이름도 Tengri가 아닌가 한다. Tengri는 중앙아시아의 단군사상을 Tengri라 했다. 켈트족인 Ebrunes가 살던 지역이라 하는데, 필자는 아직 켈트족에 대한 기록을 잘 신뢰하지 못한다. 뚜렷한 특징을 체계적인 역사도 없이 사방에 걸쳐 있는 켈트족의 흔적만 거론한다. 그러나 단군조선과 관련 있는 부족 중 하나로는 보인다. 이러한 성곽의 위치가 라인강의 동쪽에 있다는 것이다. 조선과 한나라는 라인강을 경계로 나누어 진 것으로 필자는 추정한다. 즉 지역도 단군조선의 지역에 있고, 성곽 모형도 고조선의 그것이다. 이 주위에 북유럽 덴마크지역에 단군의 흔적이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했다. 따라서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Tungri가 Tengri와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Fortification of Tungri in Tongeren in 벨기에 (source ; Wikipedia)

 

이상으로 Massagetae에서 시작하여, 키메리언, Dahae, Hyrcania에 이르는 Dacians과 관련된 낙랑조선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마치고자 한다.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필자가 얻은 새로운 사실도 앞으로 한민족 역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나름대로 도전의식을 가지고 매진한 결과로 생각한다. 

 

필자는 과거 2015년 분석에서 '진시황의 진나라가 알렉산더 제국인가?'에서 짧은 재위기간, 아방궁과 같은 궁전의 존재 및 소실, 장성의 존재 등으로 진나라가 알렉산더 제국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그 이후 계속 연구를 하면서, 지금은 이러한 생각과 다른 판단을 하고 있다.

 

우선 진시황의 진나라는 그전에 전국시대의 각각의 나라들을 통합한 국가이다. 반면 알렉산더 제국은 그 전에 아케메네스제국이라는 거대 제국이 존재했고, 그 영역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알렉산더 제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의 차이는 지도층의 변화이다.  왕권 다툼이나 반란에 의해 제국의 주인이 바뀌는 현상이다. 메디아 제국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으로 바뀌는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100여년의 시간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진나라는 여기에 존재한 것이 아니고, 라인강 서쪽에 있는 것이 아닌가 판단한다.

 

 

따라서 낙랑조선 시기의 주나라와는 아케메네스제국이 전혀 상관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더욱 진국이 아닌가 하는 필자의 판단이다. 주(서주)나라의 수도 호경은 이태리북부에 있는 평양이며, 고구려의 장안성이다. (발해고 자료참조) 따라서 서주는 라인강 서쪽에 위치할 가능성이 크다. 기자가 온 지역도 이태리북부의 낙랑지역이 아닐까 한다. 춘추 전국시대의 동주는 명목상의 황제국에 지나지 않았다. 춘추오패나 전국칠웅이 그래서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BC 8c이후 동주의 시기에 강력한 메디아 제국, 아케메네스제국 등이 동주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더욱 낙랑조선 또는 진국이 아닌가 하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