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39

후백제의 견훤이 공격한 강주(康州)(Kangju)는 이베리아 반도에 있지 않았을까?

제목 : 강거(康居)(Kangju)는 이베리아 반도에 있었다 강거(康居)의 강(康)은 강주(康州)와 같이 지역이름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늘은 강(康)지역, 즉 강거지역이 어디에 있었는가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중공사가들은 중앙아시아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이들이 왜곡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나라, 주나라, 송나라, 흉노, 고구려, 발해에서 강왕(康王)이란 칭호를 쓰는 왕이 나타나는데, 이들 왕이 강(康)지역을 지배한 왕으로 판단되는 바, 이를 바탕으로 강거지역을 추정해 보고자 한다. 또한 통일신라도 경명왕시에 920년 강주장군 윤원이 고려에 항복했다 하고, 후백제의 견훤이 강주(康州)를 공격했으며, 아들 양검을 강주도독으로 임명하였다 기록되어 있는 바, 이를 바탕으로 강(康)지역..

한국사/공통 2023.04.06

<펌>Khwarazmian Empire (1077-1231)

Khwarazmian Empire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For other uses, see Khwarezmian (disambiguation). Khwarazmian Empireخوارزمشاهیان KhwārazmshāhiyānStatusCapitalLargest cityCommon languagesReligionGovernmentKhwarazmshah• 1077–1096/7• 1220–1231Historical era• Established• Mongol conquest of the Khwarazmian Empire• Battle of Yassıçemen• DisestablishedArea1210 est.[5] or1218 est.[6]Population..

<펌>Black Hats (Black Klobuks)

Black Klobuk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Chorni Klobuky) Chorni Klobuky or Chornye Klobuki, meaning "black hats" (from Russian: Чёрные клобуки, romanized: Chërnyye klobuki and Ukrainian: Чорні клобуки, romanized: Chorni klobuky) was a generic name[1] for a group of semi-nomadic Turkic tribes of Berendei, Torki, Kovui of Chernihiv, Pechenegs, and others[2] that at the ..

흑해 위 Pechenegs은 누구인가?

Pechenegs는 (840/860 - 990/1091) 기간의 역사를 가져, 우리 역사의 발해와 고려의 기간에 걸쳐있다. 필자가 불가리아의 Simeon I왕이 후백제의 견훤으로 추정하는 글에서 많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훈족과 카자르와 언어가 같다고 한다. 필자는 훈족을 고구려로 이미 추정한 바 있고, 카자르는 발해의 일부라고 주장한 글을 이미 썼다. 그래서 더 관심이 가서 이글을 쓰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지역은 지금의 흑해와 그 주위에 있었다. (아래 지도 참조) Pechenegs in 1030 (source : Wikipedia) 불가리아는 흑해 위의 마자르족과 비잔틴의 연합군의 침입에 의해 유린된 후, 마자르족의 동쪽에 이웃한 Pechenegs와 연합하여 마자르족에 대한 반격을 한..

한국사/발해 2023.03.15

연구 대상 지역적 배분의 블로그 운영

연구 대상 지역적 배분의 블로그 운영 그동안 필자는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를 시작으로 역사 연구에 대한 세월을 보냈다. Daum과 Naver 회사의 상호 호환의 부족으로 두개의 블로그를 운영한 측면도 있다. 그러다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안전을 위해 별개로 운영하였는데, 다음 블로그가 폐쇄되고 티스토리 카카오로 통합되면서, 졸지에 티스토리 역사 블로그가 두개가 되어 버렸다. 또한 역사가 아닌 별개의 경제 주제를 바탕으로 한 블로그까지 티스토리 블로그가 세개가 되어 버렸다. 여기에 구글에서 운영하는 블로그까지 총 5개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이 되어 버렸다. 그동안 여러 블로그에 중복 게재를 해왔는데, 이제 교통정리를 할 때가 온 것 같다. 그래서 중복 게재를 피한다면, 각 블로그에 올린 글의 가치도 더 ..

알립니다 2023.03.15

양아치 블로그한국(Blog-korea.com)을 고발합니다

지난 두번에 이어 또 다시 필자의 글 두개를 불법 복사하여 Bing, Yahoo에 올려 놓은 양아치 블로그한국(Blog-korea.com)을 고발합니다. 또한 Naver에 공식적으로 저작권침해를 신고합니다. Yahoo에 올려진 두개의 필자의 글 screenshot 필자가 제목을 바꾸기 전에 네이버 블로그(드러나는 한민족역사)에 실린 제목이 다음 사이트에 실린 내용 screenshot Bing에 올려진 Blog-korea.com이 도둑질한 글 서두 screenshot Bing에 올려진 Blog-korea.com이 도둑질한 글 중간 screenshot (blog.naver.com/lainfos를 blog.blog-korea.com/lainfos로 고쳐 놓았다) Bing에 올려진 Blog-korea.com이 ..

알립니다 2023.03.13

역사의 미스테리 : 금강산은 어디에 있는가?

조수미의 '그리운 금강산'이란 가곡을 듣고 있노라면, 우리의 명산인 금강산이 어디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 가곡이 1960년대 지어졌지만, 나운영 작곡의 동요 금강산과 함께 금강산 관련 곡으로 애창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금강산이 정말 일만 2천봉을 가지고 있는지 잘 모른다. 북한에 위치한 것도 있지만, 정선의 금강도를 제외하고는 이에 관련 자료가 없어 보인다. 필자는 한반도의 지명이 일제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판단할 때, 실제 금강산이 어디에 있었는지 추정하지 못하고 있다. 필자가 언급하는 금강산은 현재 북한에 있는 금강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 선조 대대로 내려 오는 금강산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필자는 현재 한국에 사는 분들에게는 죄송한 이야기이지만, 역사적 지명이 현재의 한반도에 있다..

한국사/조선 2023.03.13

단군조선의 제후국 하(夏)나라는 사하라사막에 있었나?

한때 하(夏)나라가 이집트나 그리스지역에 있나 했었다. 왜냐하면 하나라의 시기와 상나라 시기가 구분되는 그리스의 미노스 문명(BC 2100-BC 1700)과 미케네문명(BC 1600 – BC 1100)과, 이집트의 문명중 나일강의 더 심해진 홍수를 다스리며 더 흥한 BC 2040-BC1650 왕국 & 18왕조 (BC 1550 – BC 1070) 구분시기를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군이 하나라의 걸왕의 폭정을 보고 상나라와 낙랑을 동원하여 하나라를 멸망 시켰을 때, 상나라는 이라크지역에 그리고 낙랑은 발칸지역에 있었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하나라의 여름하자를 쓴 것은 이집트의 나일강 중상류의 사막기후를 고려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나일강의 범람을 막기 위한 우의 치수작업이 성공하여 하나라왕에 등극했다고 생..

한국사/중국사 2023.03.13

북아프리카의 누미디아왕국은 대월지인가 왜국인가?

지난 글에서 키메리언과 Dardanians, Trojans, Etruscans 등과의 연관성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리고 로마의 포에니전쟁이 로마지역의 세력이 북아프리카에 진출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조선왕 준왕의 한(韓)지역에의 남하와 고구려 협보의 남하에 따른 구야한국이 북아프리카에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을 하였다. 이제 북아프리카 지역이 이러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북아프리카의 Berber(유목민)족 유전자 분석에 의하면, 현재 바스크 및 샤르디니아가 가장 근접했다 한다. 샤르디니아는 과거부터 북아프리카와 함께 페니키아문명권이었으니 이해가 가나, 바스크지역이 거론된 것은 다소 의외이다. 필자는 바스크지역이 여러 모로 한민족과 가까운 모습을 확인했..

한국사/기타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