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족인 Burgundians은 북부여, 동부여인가? (updated)
2021. 6. 5. 05:51ㆍ한국사/부여
제목 : 반달족인 Burgundians은 북부여, 동부여인가?
필자는 지난 번 글, '반달족(Vandals)은 월지족인가?'에서 반달족의 일원인 Burgundians이 부여일지 모른다는 언급을 했다.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부여에 대한 자료를 다시 한번 살펴 보자. 아래 삼국유사의 자료를 보면, 기원전 239년 홀승골성에 해모수가 북부여를 세웠다 한다. 해모수의 아들 해부루는 도읍을 옮겨 동부여를 열었다 한다.
"《고기(古記)》에 이르길, 전한(前漢) 선제(宣帝) 신작(神爵) 3년 임술[10] 4월 8일에 천제가 흘승골성(訖升骨城)【대요(大遼)의 의주(醫州) 경계에 있다.】에 내려왔는데, 다섯 마리 용이 끄는 수레를 타고 왔다. 도읍을 세우고 왕이라 칭하고는 국호를 북부여라 하고 자기 이름을 해모수(解慕漱)라 하였다. 아들을 낳아 이름을 부루(扶婁)라 하고 해(解)를 성으로 삼았다. 왕은 훗날 상제(上帝)의 명으로 도읍을 동부여로 옮겼다. 동명제는 북부여를 계승하여 일어나 졸본주(卒本州)에 도읍을 정하여 졸본부여(卒本扶餘)가 되었으니, 곧 고구려의 시조였다.
《삼국유사》 <기이> 제1권 북부여 #"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아래 자료에서는 해모수가 재위 6년(BC 231년)에 무리를 거느리고 옛 도읍에 가서 깨우치니 오가(五加)가 드디어 공화정을 폐지하고 단군에 추대하였다 한다. 기존의 홀승골에서 이동하여 옛 도읍에 갔다는 것이고, 오가(五加)가 추대하여 기존의 공화정을 폐지하고, 해모수를 왕인 단군(檀君, King Dan)으로 세웠다는 것이다.
"시조 해모수(解慕漱)
첫해(기원전 239년)가 임술(BC239)년이다.
본래 고리국 사람으로 수유와 함께 군사를 일으켜 웅심산【熊心山흥안령(興安嶺) 으로 추정】을 의지하여 일어나 집을 난빈(蘭濱) 에 지었다.
【고리국 藁離國 해모수가 군대를 일으킨 곳으로 [삼국유사]에서 북부여 시조 해모수 (解牟漱)가 대요국 의주계(醫州界)에 있는 홀승골(忽昇骨)에 도읍 하였다고 전한다. 신개하(新開河) 유역의 과이심 좌익중기(科爾沁左翼中旗) 육가자(六家子) 문화로 고려된다】
2년(기원전 238년) 3월 16일에 하늘에 제사지내고 연호법【烟戶法 사람과 집 수를 조사하여 해마다 나라에 보고하는 법】을 세웠으며 오가의 군사를 나누어 두고 둔전을 작급하게 하여 불시의 근심이 있을 때를 대비하게 하였다.
8년(기원전 231년)에 임금이 무리를 거느리고 옛 도읍에 가서 깨우치니 오가 (五加)가 드디어 공화(共和) 의 정치를 철폐하고 나라 사람들이 추대하여 단군(檀君)을 삼았다. "
(자료 : 북부여, 닷컴삼국지,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이러한 부여의 역사는 소름끼칠 정도로 유사한 역사가 Burgundians의 역사에서 나타난다. 아래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면 Burgundians과 Goths족 리더들은 발틱해 근처의 먼 조상의 후손들이라고 기술된다. 필자는 본 블로그 글, '왜 '해모수'란 지명이 북유럽에 있나?'에서 Hammershus란 지명이 덴마크의 동쪽 섬인 Bornholm island에 있는 것을 밝혔다. (아래 지도 참조) Bornholm섬에 홀승골성이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Hammershus (해모수)란 지명이 붙었는지도 모른다. 아래 사진에 보는 Hammershus성의 Ruins이 고조선의 성곽 모습이다. 해모수가 단군이 되었으니 고조선의 일부이며, 북부여인 것이다.
"Uncertain early history
Location of the island of Bornholm
The origins of the Burgundians before they reached the area near the Roman-controlled Rhine is a subject of various old proposals, but these are doubted by some modern scholars such as Ian Wood and Walter Goffart. As remarked by Susan Reynolds:[6]
Wood suggests that those who were called Burgundians in their early sixth-century laws were not a single ethnic group, but covered any non-Roman followed of Gundobad and Sigismund. Some of the leaders of Goths and Burgundians may have descended from long-distant ancestors somewhere around the Baltic. Maybe, but everyone has a lot of ancestors, and some of theirs may well have come from elsewhere. There is, as Walter Goffart has repeatedly argued, little reason to believe that sixth-century or later references to what looks like names for Scandinavia, or for places in it, mean that traditions from those particular ancestors had been handed through thick and thin."
Ruins of Burg Hammershus in Island Bornholm
그런데 이러한 놀라움은 계속된다. 덴마크의 역사에서 King Dan (단군)이란 인물들이 등장한다. (아래 Wikipedia자료 참조). 필자는 이미 본 블로그 글, '북부여계인 두막루는 북유럽에 있었다'라는 글에서, 덴마크 지역에 AD 500년경 세워진 '두막루'가 있었으며, '두막루'는 북부여 고토로 돌아갔다고 역사는 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막루는 동부여가 고구려에 항복해 멸망(494년)한 후, 일부 세력이 북부여 고토로 돌아가 세운 부여세력이다. 그리고 필자는 Denmark, 덴마크 이름도 두막루의 두막과 유사하다 했다. 그리고 이들을 서양사에서는 Dani people, Danes 라 했다.
"According to popular legend, however, the name Denmark, refers to the mythological King Dan. There are also a number of references to various Dani people in Scandinavia or other places in Europe in Ancient Greece and Roman accounts (like Ptolemy, Jordanes, and Gregory of Tours), as well as some medieval literature (like Adam of Bremen, Beowulf, Widsith and Poetic Edda)..."
(source : Etymology of Denmark,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Dan (or Halfdan) is the name of one or more legendary earliest kings of the Danes and Denmark, mentioned in medieval Scandinavian texts.
The Chronicle of Lejre (Chronicon Lethrense) written about 1170 introduces a primeval King Ypper of Uppsala whose three sons were Dan, who afterwards ruled Denmark, Nori, who afterwards ruled Norway, and Østen, who afterwards ruled the Swedes. Dan apparently first ruled in Zealand for the Chronicle states that it was when Dan had saved his people from an attack by the Emperor Augustus that the Jutes and the men of Fyn and Scania also accepted him as king, whence the resultant expanded country of Denmark was named after him. Dan's wife was named Dana and his son was named Ro....
According to Arngrímur Jónsson's Latin epitome of the lost Skjöldungasaga made in 1597:
Ríg (Rigus) was a man not the least among the great ones of his time. He married the daughter of a certain Danp [Old Norse Danpr], lord of Danpsted, whose name was Dana; and later, having won the royal title for his province, left as his heir his son by Dana, called Dan or Danum, all of whose subjects were called Danes.
This tradition is close to that of the Rígsthula.
This Dan married Olof the daughter of Wermund and so became brother-in-law to the Offa of Angel mentioned in the Old English poem Beowulf. Dan ruled first in Jutland but then conquered Zealand from King Aleif creating the kingdom of Denmark....
Ynglinga saga
Snorri Sturluson's Ynglinga saga relates of King Dygvi of Sweden:
Dygvi's mother was Drótt, a daughter of King Danp, the son of Ríg, who was first called konungr ['king'] in the Danish tongue [(Old Norse)]. His descendants always afterwards considered the title of konungr the title of highest dignity. Dygvi was the first of his family to be called konungr, for his predecessors had been called dróttinn ['chieftain'], and their wives dróttning, and their court drótt ['war band']. Each of their race was called Yngvi, or Ynguni, and the whole race together Ynglingar. Queen Drótt was a sister of King Dan Mikilláti, from whom Denmark took its name.
Here Ríg is the father of Danp, the father of Dan. The title Mikilláti can be translated 'Magnificent' or 'Proud'.
Snorri does not relate here whether this Dan is also descended from King Fridfrodi or Peace-Fróði whom Snorri presented as ruling in Zealand as a contemporary of Fjölnir son of Frey six generations before King Dygvi. Snorri writes further:
In the time when the kings we have been speaking of were in Uppsala, Denmark had been ruled over by Dan Mikilláti, who lived to a very great age; then by his son, Fróði Mikilláti, or the Peace-loving, who was succeeded by his sons Halfdan and Fridleif, who were great warriors.
This peaceful Fróði seems a duplicate of the earlier Fróði.
In his preface to the Heimskringla (which includes the Ynglinga saga), Snorri writes:
The Age of Cairns began properly in Denmark after Dan Mikilláti had raised for himself a burial cairn, and ordered that he should be buried in it on his death, with his royal ornaments and armour, his horse and saddle-furniture, and other valuable goods; and many of his descendants followed his example. But the burning of the dead continued, long after that time, to be the custom of the Swedes and Northmen.
The Gesta Danorum
According to Saxo Grammaticus's scholium, Dan and Angul (Angel) were brothers.
Saxo Grammaticus in his Gesta Danorum presents three different Danish monarchs named Dan, either splitting up a single monarch into many or properly keeping separate what others have confused.
Saxo begins his history with two brothers named Dan and Angul, sons of one Humbli, who were made rulers by the consent of the people because of their bravery. They were not however called "kings", as that usage was not then common.
Angul is the eponym of the region of Angul and from his people eventually came the English who gave their name to England. Dan fathered two sons, Humblus and Lotherus, by his wife Grytha.
Neither one is otherwise known, though a king named Humli is a leader of Huns in the Old Norse Battle of the Goths and Huns. Lotherus might have some relation to the Norse god Lóðurr or to the exiled king Heremod mentioned in Beowulf or to both. According to Saxo, Lotherus is the father of the famous hero Skioldus.
The second king called Dan appears much later in Book 4, as the son of Uffi son of Vermund, (that is Offa of Angel son of Wermund). But Saxo passes over him in a few lines as a warlike king who scorned his subjects and wasted his wealth, much degenerated from his ancestors.
He is followed by King Huglek, then Fróði the Active, who is then followed by the third Dan. Saxo does not specifically give the parentage of any of these kings. Of this Dan, Saxo relates only an anecdote that when Dan was twelve years old, tired of the arrogance of Saxon ambassadors who demanded tribute on pain of war, he bridged the river Elbe with ships, crossed over, and won a great victory.
(SOURCE : Dan (King),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그럼 이제 보다 상세히 비교 검토해 보자. 우선 부여의 생성년도는 상당히 오래 되었다. 천년 동안 한번도 패하지 않은 국가란 언급도 있다. 아래 나무위키 자료를 보면 부여의 건국시기는 중국 사서인 상서대전, 산해경, 사기, 화식열전 등에 언급되는 것을 보면 기원전 3세기 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체적 연도 자료는 없다. 부여는 AD 500년경 망했으나, 고구려 대무신왕에게 대소가 패해 죽었고 (AD 22), 3세기 후반부터 선비족 모용부에 의해 대패하며 쇠약해 졌으니, 천년 동안 한번도 패하지 않았다 하면, 그 전에 BC 10세기부터 존재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아래 나무위키 자료에서도 BC 10세기 언급이 나온다.
"고고학적으로 부여의 전신은 기원전 10세기에서 4세기까지 존재한 만주 지린 성의 서단산 문화(西團山文化)로 본다. 서주 ~ 춘추시대 초기에 성립된 서단산 문화는 점차 발전하면서 요동과 북방의 백금보 문화[8] 등의 청동기 문화를 받아들여 발전했으며,....
건국 시기는 보통 최소한 기원전 2세기 이전으로 잡고 있다. 그런데 중국 사서인 《상서대전》, 《산해경》, 《사기》 <화식열전> 등에도 부여가 언급된다. 물론 이것이 국경을 맞대고 있다거나, 기원전 3세기 이전에 건국되었다는 근거는 아니다. 하지만 일부 기록과 유물 등의 존재는 부여 이전에도 원시적 공동체가 이 지역에 오랫동안 지속되어 있었음을 말한다......"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그렇다면 Burgundians, 즉 반달족의 일원인 Burgundians의 원천지인 스칸디나비아 남쪽에서는 언제부터 역사가 있었을까? 아래 지도를 보면, 고트족, 선비족, 반달족 등 게르만 민족이, 철기시대 기원전 750년경 이전부터 스칸디나비아 남부와 덴마크지역에 정착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기원전 500년경까지 발틱해에 접한 유럽대륙(아래 지도 갈색지역, 즉 Oder river과 Vistula river 사이 하류지역, Elbe river와 Rhine river 사이 하류지역)에 이동하여 정착하고, 이후 기원전 250년까지 더 남하하여 이동 정착하였으며 (노란색 지역), 기원후 1세기까지 라인강 상류지역, Elbe river 상류지역, Oder river 상류지역, Vistula river 중상류 우측지역 등(녹색지역)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The expansion of the Germanic tribes 750 BCE – 1 CE (after the Penguin Atlas of World History 1988):
Settlements before 750 BCE
New settlements by 500 BCE
New settlements by 250 BCE
New settlements by 1 CE
(source : Iron age Scandinavia,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북유럽, 펌글 참조)
Map of Major Rivers in Europe (source : Worldatlas)
부여로 추정되는 Burgundians은 기원전 2세기부터 역사에 나타난다 하는데, 부여도 최소한 기원전 2세기경에 건국되었다고 나무위키 자료는 위에서 말하고 있다.
Burgundians은 그 원천인 스칸디나비아 남부지역, 덴마크지역에서는 BC 750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으니, 부여의 존재 BC 10세기부터 존재할 수 있다는 기록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우선 시기적으로 매칭된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지역적 이동에 관하여 부여와 Burgundians을 대비해 보자.
아래 삼국유사 동부여 자료에서는, 해부루왕 시절 아란불의 천거에 의해 동해 바닷가에 가섭원이란 곳에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동부여라 했다 한다. 이때가 기원전 87년 쯤이다.
"북부여의 왕 해부루(解夫婁)의 대신인 아란불(阿蘭弗)의 꿈에 천제가 내려와 이렇게 말하였다. (BC 87)
“장차 내 자손에게 이곳에 나라를 세우도록 할 것이니, 너는 다른 곳으로 피해가라.【동명제가 장차 일어날 조짐을 말한 것이다.】 동해 바닷가에 가섭원(迦葉原)이란 곳이 있는데, 땅이 기름져서 왕도를 세우기에 적당하다.”
아란불은 왕에게 권하여 도읍을 그곳으로 옮기고 국호를 동부여라고 하였다.
부루는 늦도록 아들이 없었는데, 하루는 산천에 제사를 지내어 대를 이을 아들을 점지해 달라고 빌었다. 이때 타고 가던 말이 곤연(鯤淵)에 이르러 큰 돌을 마주 대하고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상하게 여겨 사람들에게 그 돌을 들추어보게 하였는데, 그곳에는 금빛 개구리 모양의 어린아이가 있었다. 왕이 기뻐하며, “이것은 하늘이 나에게 아들을 주심이로다!”라고 말하였다. 그 아이를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金蛙)라고 하였다. 아이가 자라자 태자로 삼았다.
부루가 죽자 금와가 대를 이어 왕이 되었다. 다음의 왕위를 태자 대소(帶素)에게 전하였다. 지황 3년 임오(서기 22년)에 이르러 고구려 왕 무휼(無恤)이 동부여를 정벌하고, 왕 대소를 죽이니 나라가 없어졌다.
《삼국유사》 <기이> 제1권 동부여 #"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아래 Wikipedia 자료를 보면, Burgundians은 발틱해 Bornholm 섬으로 이동한 후 또 이동하여 AD 250년경에는 이 섬에서 이들의 흔적은 사라졌다고 했다. 그리고 로마사가들은 Elbe river 동쪽이나 발틱해 주변에 사는 민족에 대해 잘 모르나, Pliny는 반달족이나 고트족 등의 동게르만민족 그룹에 대해 언급하고, Ptolemy 역시 Oder river와 Vistula river 사이 지역에 이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They have long been associated with Scandinavian origin based on place-name evidence and archaeological evidence (Stjerna) and many consider their tradition to be correct (e.g. Musset, p. 62). According to such proposals, the Burgundians are believed to have then emigrated to the Baltic island of Bornholm ("the island of the Burgundians" in Old Norse). However, by about 250 AD, the population of Bornholm had largely disappeared from the island. Most cemeteries ceased to be used, and those that were still used had few burials (Stjerna, in German 1925:176). In Þorsteins saga Víkingssonar (The Saga of Thorstein, Viking's Son), a man (or group) named Veseti settled on a holm (island) called borgundarhólmr in Old Norse, i.e. Bornholm. Alfred the Great's translation of Orosius uses the name Burgenda land to refer to a territory next to the land of Sweons ("Swedes").[7] The poet and early mythologist Viktor Rydberg (1828–1895), (Our Fathers' Godsaga) asserted from an early medieval source, Vita Sigismundi, that they themselves retained oral traditions about their Scandinavian origin."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Early Roman sources, such as Tacitus and Pliny the Elder, knew little concerning the Germanic peoples east of the Elbe river, or on the Baltic Sea. Pliny (IV.28) however mentions a group with a similar names among the Vandalic or Eastern Germanic Germani peoples, including also the Goths. Claudius Ptolemy lists these also, as living between the Suevus (probably the Oder) and Vistula rivers, north of the Lugii, and south of the coast dwelling tribes."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부여의 '동부여'로의 이동과 반달족의 일원인 Burgundisn의 이동지역을 감안하면, 아불란이 말하는 동해는 덴마크 동쪽의 발트해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동해가의 가섭원지역은 Oder River와 Vistula river사이의 발틱해 연안지역 (상기 지도에서 갈색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은 계속해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동 위치는 북부여에서 동쪽이므로 동부여로 명명해도 합리적이다. 그러나 Elbe river 서쪽에 있던 Suebi족인 선비족 모용부의 침략에 의해 동부여(Burgundians)가 다시 Western Alps지역 (라인강 상류 지역, 위 지도에서 녹색지역)으로 이동했다면, 동부여의 원래 있던 위치(Oder river와 Vistula river사이)가 북쪽이 되니, 우리 역사에서 동부여와 북부여의 혼동이 그래서 있는 것 같다.
Burgundians과 부여족의 개괄적인 이동 상황에 대한 검토는 이 정도로 하고, 이제는 보다 상세하게 전쟁에 따른 이동 상황을 비교 검토해 보고자 한다. 대략 3단계로 볼 수 있다. 첫째 기원후 2세기까지의 상황, 기원후 3세기말의 상황, 그리고 기원후 4세기 중반의 상황이 그것이다.
아래 부여의 자료에서는 부여의 전성기를 1-3세기로 언급하며, 대무신왕 (AD 22년)때 고구려에 당한 경험 (대소왕 전사) 때문인지,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과 협조 내지 갈등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 지역이동에 대한 언급은 없다. 단지 낙랑군에의 침입, 이웃인 읍루를 복속시킨 것이 대략적인 위치를 암시하고 있다. 필자는 위의 관구검의 침입때 고구려 동천왕이 피신한 남옥저, 동평양 등에서 발칸반도 북쪽을 언급했다. 읍루도 물길이라 할 때, Marcomanni가 있는 중부 유럽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시기의 부여는 중부 유럽에서 활발히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의 전성기는 1세기~3세기인데,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하여 후한 및 조위와 친선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관구검이 고구려를 정벌할 때, 부여왕 간위거가 위군에게 군량을 제공하기도 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중국 세력과 항상 핑크빛 관계를 유지한 건 아니어서 후한 안제 때인 111년에 기병과 보병 7~8,000명을 이끌고 낙랑군에 침입하여 관리와 백성들을 죽이고 노략질을 했던 적도 있었다.[12] 잘나갈 때는 옆나라 읍루를 복속시키기도 했다. 읍루가 황초(黃初, 220~226) 연간에 반란을 일으켜서 부여로부터 독립하긴 했지만....."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이 시기에 위키자료에서는 어떻게 묘사되는지 아래에서 보자. 로마 국경에 AD 2세기 중반쯤 스칸디나비아에 원천을 둔 게르만민족 (Rugii, Goths, Vandals, Burgundians 등)은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로마 국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Marcomannic Wars에 극에 달하여, 로마 제국 시기 이태리에 처음 침입하여 큰 파괴를 낳는다.
"Around the mid 2nd century AD, there was a significant migration by Germanic tribes of Scandinavian origin (Rugii, Goths, Gepidae, Vandals, Burgundians, and others)[8] towards the south-east, creating turmoil along the entire Roman frontier.[8][9][10][11] These migrations culminated in the Marcomannic Wars, which resulted in widespread destruction and the first invasion of Italy in the Roman Empire period.[11] Jordanes reports that during the 3rd century, the Burgundians living in the Vistula basin were almost annihilated by Fastida, king of the Gepids, whose kingdom was at the mouth of the Vistula."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상기 자료에서 Jordanes는 3세기에 Vistula basin에 거주하던 Burgundians은 Vistula 강 하류에 사는 Gepids 왕 Fastida에 의해 거의 전멸하였다고 언급된다. 아래 나무위키 자료에서도 285년 선비족 모용부에 의해 부여는 만여명이 포로로 끌려 가는 상황이 발생해 의려왕이 자살하는 일까지 벌어진다고 언급된다. 이때 의려왕의 자제들은 북옥저로 도피하여 동부여가 되었다고 언급된다. 필자는 복옥저가 스위스 북쪽에 있는 Augusta Raurica로 추정하였다. (본 블로그 글, '고주몽이 정벌한 행안국은 스위스 서쪽 Noviodunum이다' 글 참조) 부여의 이 상황은 Jordanes가 언급한 3세기의 Burgundians의 참사와 유사하다.
"하지만 이렇게 잘 나가던 부여도 285년 선비족 모용부에 대대적으로 털리면서 쇠락기를 맞이했다. 서기 285년, 모용외의 침공에 10,000여 명이 포로로 잡혀 끌려갔으며, 급기야 의려왕이 자살하는 일까지 벌어지면서 국력은 크게 쇠락했다. 이때 의려왕의 자제들은 두만강 일대의 북옥저로 도피했는데, 그 중 의려왕의 아들 의라왕은 남은 무리를 이끌고, 서진의 보호를 받으며 돌아가 나라를 되찾았다[復]. 한편 모용선비족의 부여 침공은 향후 동북아시아의 정세에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북옥저에 일부 무리가 남아 동부여가 되었다는 설이 정설이며, 후대에 동부여 계열 인물들이 고구려 주요 귀족이 되고[14] ........... 여하튼 또 다른 유민들이 백제로 흘러들어가 근초고왕이 즉위했다는 주장도 있다. "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아래 자료에서 3세기 후반 Burgundians이 라인강 동쪽에 나타났다는 기록은 위에서 본 285년 부여가 북옥저로 피신한 상황을 언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일부는 고구려 주요 귀족이 되고, 일부유민은 백제로 간 것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고구려와 백제에 의해 패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아래 위키자료에서도 Burgundians은 로마에 의해 격퇴되고, Goths족에 의해 격퇴된 것을 언급하고 있다. 즉 부여족이 모용선비족 공격에 의해 크게 쇠약해질 때, 백제나, 고구려에 의해 더 뿔뿔이 흩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라울 정도로 Burgundians역사와 부여의 역사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In the late 3rd century, the Burgundians appeared on the east bank of the Rhine, apparently confronting Roman Gaul. Zosimus (1.68) reports them being defeated by the emperor Probus in 278 near a river, together with Silingi and Vandals. A few years later, Claudius Mamertinus mentions them along with the Alamanni, a Suebic people.
These two peoples had moved into the Agri Decumates on the eastern side of the Rhine, an area today referred to still as Swabia, at times attacking Roman Gaul together and sometimes fighting each other. He also mentions that the Goths had previously defeated the Burgundians.
Ammianus Marcellinus, on the other hand, claimed that the Burgundians descended from the Romans. The Roman sources do not speak of any specific migration from Poland by the Burgundians (although other Vandalic peoples are more clearly mentioned as having moved west in this period), and so there have historically been some doubts about the link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Burgundians.[12]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Alemannic expansion and Roman-Alemannic battle sites, 3rd to 5th century (source : Wikipedia)
3세기 후반 선비족 모용부에 의해 큰 타격을 받은 부여는 4세기 중반 다시 전연 태조 모용황에 의해 부여왕을 비롯해 무려 5만여명이 끌려가는 사실상 붕괴되는 상황을 맞이한다.
"모용외의 침공에 타격을 받은 부여는 국가의 중심지를 기존의 지린성 일대에서 서쪽의 농안 지역으로 옮겼으나, 346년, 전연 태조 문명제 모용황의 대공격에 부여왕 현을 포함해 무려 50,000여 명이 끌려가면서 사실상 붕괴하게 되었다. "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이에 대해서는 위키자료는 별 언급이 없고 다만, 370년경, 로마 황제 Valentinian I는 Alemanni와의 전쟁에서 Burgundians의 지원이 있었음을 언급하고 있다.
"In 369/370, the Emperor Valentinian I enlisted the aid of the Burgundians in his war against the Alemanni."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그래서 Valentinian I의 자료를 살펴 보니, Gaul지역에서 라인강 우편에 있는 Alemanni와 전쟁에서 초기에는 두 장군이 전사할 정도로 여려움을 겪었다. 우여곡절 끝에 나중에는 승리했다고 하나 강화조약을 맺은 것을 보면 Damage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자료 참조, 본 블로그, 카테고리, W.Roman, 펌글 'Valentinian I', 참조) 따라서 라인강 상류지역 지역에 있었던 Burgundians도 참여 하였을 것이고 (아래 자료에서는, Valentinian I은 강력한 Macrian (전연의 모용부의 일원으로 추정됨) 주도의 Alamanni에 대항해 Burgundians이 로마편에서 싸우기를 설득했다고 하는데 실질적 협력은 없었다 언급하고 있음), 이 과정에서 로마와 함께한 Burgundians도 큰 Damage를 입었다고 할 수 있다. 즉 4세기 중반의 부여와 Burgundians 상황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Valentinian advanced to Durocortorum and sent two generals, Charietto and Severianus, against the invaders.[30] Both generals were promptly defeated and killed.[31] In 366, Dagalaifus was sent against the Alamanni but he was also ineffective.[32] Late in the campaigning season Dagalaifus was replaced by Jovinus, a general from the court of Valentinian. After several victories along the Meuse river Jovinus pushed the Alamanni out of Gaul and was awarded the consulate the following year for his efforts.[33]....
Valentinian meanwhile tried to persuade the Burgundians – bitter enemies of the Alamanni – to attack Macrian, a powerful Alamannic chieftain. If the Alamanni tried to flee, Valentinian would be waiting for them with his army. Negotiations with the Burgundians broke down when Valentinian, in his usual high-handed manner, refused to meet with the Burgundian envoys and personally assure them of Roman support. Nevertheless, rumors of a Roman alliance with the Burgundians did have the effect of scattering the Alamanni through fear of an imminent attack from their enemies. This event allowed the magister equitum Theodosius to attack the Alamanni through Raetia – taking many Alamannic prisoners. These captured Alamanni were settled in the Po river valley in Italy, where they were still settled at the time Ammianus wrote his history.
Valentinian campaigned unsuccessfully for four more years to defeat Macrian who in 372 barely escaped capture by Theodosius........In 374 Valentinian was forced to make peace with Macrian because the Emperor's presence was needed to counter an invasion of Illyricum by the Quadi and Sarmatians.
(source : Valentinian I,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W.Roman, 펌글 참조)
Map of Rhine frontier of Roman Empire with Burgundi and Alamanni in the 4th century (source : Wikipedia)
이어서 406-408년 Alaric I의 공격시, Alans, Vandals (Hastingi and Silingi), Danubic Suevi등의 대규모 그룹이 Burgundians이 거주한 장소를 진격해 들어 와서 궁극적으로 히스파니아까지 갔다. 광개토태왕때 410년에 동부여를 정벌했다고 하는데, 이 상황을 말한 것으로 추정된다. 광개토태왕이 동부여 정벌시, 부여왕과 대소 신려가 사열하고, 일부 귀족들은 광개토태왕을 동행했다고 하는데, 아래 자료에서 Burgundians 일부가 로마제국에 위성국으로 귀속하고, 일부는 훈족의 아틸라군에 속했다고 하는 기록을 보면, 광개토태왕시 동부여 일부가 고구려의 진격에 동참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Burgundians이 동부여이며, 이들의 위치는 라인강 상류 서쪽에서 알프스산맥 서쪽에 이르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광개토태왕이 정벌한 동부여의 위치가 이태리 북쪽, 여기가 되는 것이다.
"Approximately four decades later, the Burgundians appear again. Following Stilicho's withdrawal of troops to fight Alaric I the Visigoth in AD 406–408, a large group of peoples from central Europe north of the Danube, came west and crossed the Rhine, entering the Empire, near the lands of the Burgundians who had moved much earlier. The dominant groups were Alans, Vandals (Hasdingi and Silingi), and Danubian Suevi. The majority of these Danubian peoples moved through Gaul and eventually established themselves in kingdoms in Roman Hispania. One group of Alans was settled in northern Gaul by the Romans.
Some Burgundians also migrated westwards and settled as foederati in the Roman province of Germania Prima along with the Middle Rhine. Other Burgundians however remained outside the empire and apparently formed a contingent in Attila's Hunnic army by 451.[2][3]"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부여는 이후에도 그 명을 이어가다가, 452년 신라와 고구려가 전쟁상태에 돌입할 때, 북위로 사신을 보냈다는 아래 기록을 보면, 이는 443년이후 Savoy지역으로 더 이동한 Burgundians Kingdom을 언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부여는 물길의 침입을 받고 494년 고구려 문자왕에게 투항한다. Savoy지역에 있던 Burgundians Kingdom은 411-534 기간 존재한 것으로 기록되는데, 15년 차이를 고려해도 494년 멸망한 동부여는 509년 멸망한 것이 되는데, 534년과 25년차이가 있다. Second Burgundians Kingdom이란 말이 나오는 것을 보면, 494(509)년이후 일부 세력이 로마제국인 백제의 위성국으로 잔존하다가 534년 Frank왕국에 의해 합병된 세력으로 추정된다.
"부여의 멸망 이후, 잔존 세력들이 고구려의 양해 아래 책성 일대에 모여 부여의 명맥을 이어갔지만, 410년에 광개토대왕의 동부여 원정으로 동부여가 멸망하게 되면서 이것마저 맥이 끊기게 되었다. 후기 부여의 중심지였던 농안 지역에 마지막까지 남아 있었던 북부여는 이후 452년 신라와 고구려가 전쟁상태에 돌입할 때 쯤 뜬금없이 북위로 사신을 보내고는 다음 기록이 없다가[16] 이후 494년에 물길의 침입을 받고, 도저히 나라를 유지할수 없게 되자 494년 고구려 문자명왕에게 투항했다. 일부 세력은 북방으로 이주해 두막루를 형성했다."
(자료 : 부여, 나무위키,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The Burgundians are first mentioned together with the Alamanni as early as the 11th panegyric to emperor Maximian given in Trier in 291, and referring to events that must have happened between 248 and 291, and they apparently remained neighbours for centuries.[1] By 411 a Burgundian group had established themselves on the Rhine, between Franks and Alamanni, holding the cities of Worms, Speyer, and Strasbourg. In 436, Aëtius defeated the Burgundians on the Rhine with the help of Hunnish forces, and then in 443, he re-settled the Burgundians within the empire, in Savoy in Gaul.
This Gaulish domain became the Kingdom of the Burgundians, in the western Alps region where modern Switzerland, France and Italy meet. This later became a component of the Frankish empire. The name of this kingdom survives in the regional appellation, Burgundy, which is a region in modern France, representing only a part of that kingdom.
Another part of the Burgundians stayed in their previous homeland in the Oder–Vistula basin and formed a contingent in Attila's Hunnic army by 451.[2][3]
Before clear documentary evidence begins, the Burgundians may have originally emigrated from mainland Scandinavia to the Baltic island of Bornholm, and from there to the Vistula basin, in the middle of what is now Poland.
(source : Burgundians, Wikipedia,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 카테고리, Burgundians, 펌글 참조)
우리 역사에서 부여국에 대한 위치를 아래와 같이 언급한다. 단 3세기 전후의 위치이다. 서로는 오환, 선비와 접하고 (Elbe river 서쪽에 있는 Suebi족 선비족 모용부), 동으로는 읍루와 접했다 했다. 서남으로는 중국의 요동세력과 연결되었다고 했다. 필자의 추정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부여는 이후 3세기 후반과 4세기 중반의 외세의 공격에 더 서로 이동하고 쇠약해지며, 일부가 분리되는 수난을 겪다가, 결국 410년 광개토태왕에 의해 더 미약한 존재가 되었다가 미구에 494년 고구려 문자왕에 항복하여 멸망하게 된다.
"부여국은 서로는 오환(烏桓)·선비(鮮卑)와 접하고, 동으로는 읍루(挹婁)와 잇닿으며, 남으로는 고구려와 이웃하고, 서남으로는 요동의 중국세력과 연결되어 있었다. 3세기 전후 무렵 영역은 사방 2천리에 달하는 광활한 평야지대였다."
(자료 : 부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필자의 다음 블로그, 카테고리, 부여, 펌글 참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광개토태왕이 정벌한 미성(味城)은 동부여의 미구루(味仇婁)를 말하며, Alaric I이 정벌한 Milano성에 해당한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Ravena는 부여왕이 수도로 거주하던 여성(餘城)으로 추정되며, 이태리 북부의 서로마제국은 동부여를 차용한 역사로 판단된다.
'한국사 > 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부여는 볼가 우랄지역을 포함했나? (0) | 2024.06.20 |
---|---|
연나부 부여는 프랑스에 있는 Kingdom of the Burgundians (411-534)이다 (0) | 2021.10.28 |
서부여(西夫餘)는 북아프리카에 진출한 반달왕국인가? (0) | 2021.10.28 |
광개토태왕이 정벌한 동부여는 어디인가? (1) | 2021.04.19 |
해두국은 Gaul지역에 있었다 (0) | 202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