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해족은 누구인가? https://shanghaicrab.tistory.com/16156170 해족(奚族): 그들은 누구인가? 글: 왕덕항(王德恒) "구백해영(九百奚營)"은 요성종(遼聖宗)시기(983-1030)에 처음 설\되었다. 금(金)이 요(遼)를 대체한 이후에도 계속 존재한다. 금의 해릉왕(海陵王) 천덕(天德)2년(1150년)에 구백해 shanghaicrab.tistory.com 역사 자료/해족 2022.10.07
<펌>Byzantine lyra Byzantine lyr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directed from Byzantine lir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Byzantine lyraHornbostel–Sachs classificationDevelopedRelated instruments Earliest known depiction of lyra in a Byzantine ivory casket (900 – 1100 AD). (Museo Nazionale, Florence)[1] String instrument Other names : Byzantine lyra, lira, lūrā, Rum Kemençe, medieval fiddle, pear-s.. 역사 자료/Fiddle Lyra 2022.10.07
<펌>해족 - 나무위키 해족 최근 수정 시각: 2022-02-28 16:22:17 분류 동호 9세기 멸망 몽골계(동호) 민족 [ 펼치기 · 접기 ] 사서에 등장하는 해족 [ 펼치기 · 접기 ] 6세기 무렵의 지도. Khitans위에 "Tatabi"가 보인다. 1. 소개2. 기록3. 여담 1. 소개[편집] 해(奚)는 고막해(庫莫奚)라고도 한다. 랴오허와 라오허 일대에 거란 등과 잡거한 종족들로 동호가 그 원류라고도 한다. 위동부(爲東部) 선비 우문부의, 또는 흉노의 일파라고 한다.[1] 퀼테긴 카간 비문의 타타비(tataby)를 해족으로 추정한다. 중국 남북조 시대 (특히 북위)에 시라무렌 강(약락수) 남쪽과 라오하 강(노합하) 유역에 거주했다. 유목을 하였고 융단 장막에 머물며 수레를 가지고 군영을 만든 뒤 5백 명을 두어 지.. 역사 자료/해족 2022.10.05
<펌> 해족 - 한겨레음악대사전 한겨레음악대사전 해족 [ 奚族 ] 요약 중국 변방의 한 오랑캐 족(族). 『문헌통고』(文獻通考)에 "해금은 오랑캐 중 해족이 좋아하는 악기다. 현도(絃鼗)에서 나온 것으로 모양도 같다"라고 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387쪽 출처 제공처 정보 한겨레음악대사전 2012. 11. 2. 책보러가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송방송의 『한겨레음악대사전 세트』 전2권. 저자가 1979년에 저술한 《한국음악용어론》, 2012년 저술한 《한겨레음악인대사전》을 근거로 마련되었다. 《... 자세히보기 저자 송방송 예술인 음악학박사 - Ph. D. 서울대 음대 국악과(학사) 동 대학원(석사) 및 캐나다 토론토(Toronto)대학교 박사과정 수학 미국 웨스레얀(Wesleyan)대.. 역사 자료/해족 2022.10.05
<펌> 해족 - 위키백과 해족 10개 언어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족(奚族)은 중국 고대에 북방 민족인 동호에서 발원한 민족이며, 선비 우문부의 한 지파이다. 고막해(庫莫奚) 혹은 고막해족(庫莫奚族)이라고도 한다.[1] 역사[편집] 고대 남북조시대, 북조의 여러왕조에게 복속되었으며, 수, 당, 돌궐 및 위구르 카간국에게 복속되었으며, 거란이 통일되어 요를 세우자 해족들은 거란에게 복속된 이후 요나라의 백성이 되어 거란과 같이 공존했다. 문화[편집] 해금은 해족이 만든 해족 고유의 현악기였으며,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에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이 보기[편집] 거란, 요나라 우문부 오환 역사 자료/해족 2022.10.05
<펌> Helvetii Helvetii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Helvetians" redirects here. For other uses, see Helvetia (disambiguation). Map of the Roman province Maxima Sequanorum (c. 300 AD), which comprised the territories of a part of the Helvetii, Sequani and several smaller tribes. The relative locations of the Helvetian pagi Tigurini and Verbigeni, though indicated on t.. 역사 자료/Celts 2022.10.05
<펌> 서극마 실크로드 사전 서극마 [ 西極馬 ] 『사기(史記)』 「대원열전(大宛列傳)」에 의하면 기원전 2세기 장건(張騫)이 서역에 갔다가 돌아올 때 얻어가지고 온 오손(烏孫)의 말을 ‘서극마’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대원에서 가져온 말은 ‘천마(天馬)’라 부른다고 하였다. 출처 제공처 정보 실크로드 사전 2013. 10. 31. 책보러가기 세계 최대 규모의 실크로드 사전 그동안 ‘실크로드 사전’은 중국과 일본에서만 출간되었는데, 그 내용은 부분적이거나 지엽적인 데 그치는 아쉬움이 있었다. 중국에서 출간된 사전(... 자세히보기 편저 정수일 학자 파란만장한 삶을 산 학자, 정수일 교수. 그는 일제 강점기 연변의 가난한 유민의 아들로 태어나, 북경대학을 거쳐 중국 외교부에서 근무하며 중국의 엘리트로 거듭났다. 그러.. 역사 자료/중국 2022.10.04
<펌>한혈마 - 실크로드사전 실크로드 사전 한혈마 [ 汗血馬 ] 대원(大宛, Ferghana, 시르다리야강 중류)의 명마. 『후한서(後漢書)』 권32 「동평헌왕창전(東平憲王蒼傳)」에는 한혈마의 교역과 특성에 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대원마(大宛馬) 한 필을 보냈는데 앞 어깨 뒤의 작은 구멍에서 피가 흘러나온다. 무제(武帝)가 「천마점적한(天馬霑赤汗)」을 노래하는 것을 늘 들어왔는데 지금 직접 보니 과연 그렇구나.” 땀과 피가 흐르는 말이란 뜻의 한혈마(汗血馬, 학명 Parafilaria multipapillosa)는 뒷목과 어깨 사이의 피하조직에 기생충이 서식하는데, 그 부위가 부어올라 달릴 때면 혈관이 늘어나 창구(瘡口)가 생겨 땀과 피가 흘러나오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원마(Turkman 馬)는 모두가.. 역사 자료/중국 2022.10.04
<펌>Mining in Sweden Mining in Swede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Kiruna iron ore mine in Kiruna, Norrbotten County The mining industry in Sweden has a history dating back 6,000 years. Historically, Sweden's most famous mine is the copper Falun Mine in Dalarna, which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wedish economy for several centuries. Sweden today is one of the lar.. 역사 자료/Norse 2022.10.04
<펌>Ostergotland Östergötland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This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Find sources: "Östergötland" – news · newspapers · books · scholar · JSTOR (October 2020)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 역사 자료/Norse 2022.10.02